학술논문
R-러닝 교수능력 증진을 위한 유아교사 연수모형 개발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Model for Improving Robot-learning Teaching Abil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연승 정정희 이민정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7권 제1호, 307~32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유아교육 현장에 로봇이 도입되어 활용되는 가운데 R-러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유아교사의 R-러닝 교수능력에 대한 자신감은 부족한 실정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의 R-러닝 교수능력 계발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유아교사의 R-러닝 교수에 있어서의 어려움에 관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한 후유아교사 R-러닝 연수모형을 구성하였다. 구성한 연수모형 시안을 전문가 타당화 작업을 거쳐 최종완성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교사를 위한 R-러닝 연수목적은 교사의 로봇활용 교육에 대한 이해증진과 교수능력 증진이었다. 교육의 내용은 R-러닝의 이론적 기초, R-러닝과 유아발달, R-러닝의 기능과 콘텐츠, R-러닝 교수방법, R-러닝 교수실제로 구성되었다. 교육의 방법은 강의, 토의, 경험공유, 반성적 저널쓰기를 활용하였다. 연수 모형의 평가는 유아교사의 R-러닝 이해와 교수능력 증진효과를 검증하는 것으로서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를 모두 실시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에서 로봇을 활용한 교육이 활성화 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R- learning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model to enhance teachers' teaching abiliti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analyzed previous research studies related to the training of R-learning and a conducted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of teachers. The features of the developed model are as follows: The purpose of this training model is to improv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teaching efficacy.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is model consist of 'understanding the r-learning concept', ‘understanding robot based learning contents', 'understanding the functions of a robot', and 'planning and implementing r-learning'. The process of r-learning teacher training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ree steps of teacher development, including the following: showing interest in robots, applying r-learning in teaching, and innovation in r-learning. The evaluation of the developed model was done with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o the efficacy of test of r-learning teaching journal writing, etc.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이야기
- 레오 리오니 그림책에 나타난 타자윤리와 배려적사고의 실천 : 레비나스 관점을 중심으로
- 예술활동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의 연구동향
- 예비유아교사의 사회과 교과 성격 이해 척도 타당화
- 아동의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가 교직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인권감수성의 조절효과
-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 활동에서의 유아리더십 효과 분석
- 음악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가족구성원 세대별 분류체계 국내 적용가능성 연구
- 국내 유아교사학습공동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기하 및 측정과 연계한 지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지리개념과 수학 개념에 미치는 영향
- 뇌기반 유아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효과 :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자아탄력성, 창의적 행동특성을 중심으로
- R-러닝 교수능력 증진을 위한 유아교사 연수모형 개발
- 그림책을 활용한 건강생활활동이 영아의 건강인식 및 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
- 1990년대 이전 한국 그림책의 시대 사회적 조건 고찰: 일러스트레이터 김광배를 중심으로
- 생태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대위법 그림책에 대한 만 4, 5세 유아의 문학적 반응
- 정보그림책을 활용한 건강교육활동이 유아의 건강인식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이야기할머니 활동이 유아의 인성과 노인에 대한인식에 미치는 영향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성교육 그림책 분석
- 바깥놀이 활동을 통한 배려교육이 유아의 행복감, 또래 유능성, 타인 정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