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음식과 식생활의 내용 분석
이용수 8
- 영문명
- Content Analysis of Food and Dietary Life Represented in Korean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현은자 이나은 김가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5권 제4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국내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음식과 어린이 등장인물들의 식생활을 분석하여 현대 어린이의 식생활이 그림책에 어떻게 반영되어있는지 살펴보고 둘째, 그림책에 그려지는 음식과 식생활의 서사적 측면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출판된 한국 창작 그림책 베스트셀러 중 음식이 등장하는 그림책 64권을 선정하여 이들 그림책의 글과 그림에 나타난 음식과 어린이의 식생활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 대상 그림책에 나타난 음식으로는 채소·과일류가 가장 많았으며 어린이가 먹은 음식으로는 곡류가 가장 많았다. 또한 이들 그림책에 나타난 어린이는 주로 집에서 혼자 먹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즉, 그림책에 그려진 음식과 어린이의 식생활은 우리 사회의 어린이의 식생활이 반영하고 있었다. 또한 음식을 먹는 장면들은 주로 장면과 인물을 묘사하고 도입과 갈등을 야기하는 등 서사의 플롯과 배경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식과 먹는 행위가 어린이가 보는 그림책에서 매우 중요한 문학적 소재로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find out how Korean picture books reflect a dietary life of today's Korean children by analyzing foods and dietary life represented in picture books, secondly to examine the literary role of food and dietary life in the narrative. For these purposes, 64 best selling Korean picture book titles in which food was represented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picture books, the images of vegetable and fruit and child characters eating a grain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In addition, child characters were likely to eat alone. Overall, the food and dietary life represented in picture books was likely to reflect Korean children's dietary life in these days. More important is that from the literary aspect, the food and dietary life represented in the picture books mainly played a background role related to a scene or a character as well as a plot such as an introduction and a conflict.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proved that foods and eating are important literary materials in children’s picture book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 활용 또래중재 문제해결 토의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창의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그림책에 나타난 공동체문화 양상 연구
- 한설야의『금강선녀』 연구 - <나무꾼과 선녀> 설화 변용을 중심으로 -
- 그림책에서의 만화적 표현 연구 - 매체 변환의 관점을 중심으로 -
-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기관풍토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저탄소 녹색성장 관련 스마트전자책활용에 따른 유아-교사 상호작용과 저탄소 녹색성장 관련개념 발현양상
- 스마트폰을 활용한 영아기 아버지교육이 아버지 부모효능감 및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슈타이너의 인지학에 기초한 발도르프교육이 한국의 생태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 고찰
- 국내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음식과 식생활의 내용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은유(metaphor) 분석
- 동요의 문학성에 따른 어린이 수용양상과 교육적 함의 : 신현득의 동요문학선언과 동요시집을 중심으로
- 유아 교육용 율동동요 애플리케이션 평가 및 내용 분석 -등장인물, 음악, 율동 요소 분석 중심으로 -
- 어린이 전자그림책의 교육적·문학적 의미
- 퍼스(Peirce)의 기호학적 관점에 의한 그림책 분석 - 이수지의『동물원』을 중심으로 -
- 그림책에 나타난 관계성 분석 : 태내기 주제 그림책을 중심으로
- 포토그라피와 유아: 이론적 탐색
- 어린이를 위한 전자그림책의 연구 동향
- 크로스오버 그림책의 이중 수용 양상 : 『Pish, Posh, Said Hieronymus Bosch』 분석을 중심으로
- 환상동화를 통한 그림 그리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을 활용한 감성교육활동이 만4세 유아의 정서지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2009 개정 초등교육과정 1,2학년 국어 교과서 수록 그림책에 나타난 성역할 분석
-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 비교 분석
-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를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사상 형성 : 그림책 읽기를 중심으로
- 유아기 자녀의 독서활동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및 자녀와의 상호작용
-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의 세계시민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분석
- 만 3~5세유아의 컴퓨터 게임행동과 인구 사회학적, 심리·사회적 행동변인 및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 구성주의 교사교육 관점의 '숲유치원 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의 의미
- 유아교사의 제반변인에 따른 유아문제행동 지도능력과 교사-유아 관계의 질에 대한 연구
- 일상물중심의 수학교육과정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 관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메타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일상생활활동 교육과정과 연계한 지체중복장애학생의 구강관리 지원: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