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를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사상 형성 : 그림책 읽기를 중심으로

이용수  7

영문명
A Study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ctations Formation Proc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Small Group and Journal Writing: Focused on Picture Book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임원신 최예린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5권 제4호, 357~38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에 나타난 교사에 대해 분석해 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들의 유아교사상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C시에 소재한 대학의 아동복지학과 4학년 재학생으로서 교직실습을 앞둔 11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연구기간동안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그림책을 읽고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를 하면서 좋은 교사상과 적절하지 않는 교사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좋은 수업에 대해 반성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바람직한 교사는 좋은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임을 인식하였다. 둘째, 그림책 읽기를 하는 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은 과거와 현재에 자신이 경험한 유아교사를 회상하면서 바람직한 유아교사상을 형성하게 되었다. 나아가 예비유아교사들은 그림책에 등장한 교사의 모습을 통해 나는 앞으로 어떤 교사가 될 것인가 기대하게 되었다. 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 활동이 예비유아교사들의 바람직한 유아교사상 형성에 효과적인 교사교육의 한 형태라는 것을 제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ctations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 and journal writing after reading picture books. Participants consist of eleven student teachers preparing for kindergarten practice teaching. Data a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s' journals and small group discussion. Qualitative methods were employed to conduct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what makes a good or poor teacher to children through reading picture books. Secondly, they did reflective thinking about good lessons during discussion and writing journals. Thirdly, the pre-service teachers obtained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ctations by remembering past teachers. Finally, they anticipated the kind of teacher they would become through reading picture books, because picture books show a variety of situations including good teachers, poor teachers and teaching metho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in teacher education in developing teachers' expectations.

목차

Ⅰ. 들어가기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원신,최예린. (2014).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를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사상 형성 : 그림책 읽기를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 (4), 357-380

MLA

임원신,최예린.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를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사상 형성 : 그림책 읽기를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4(2014): 357-3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