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요의 문학성에 따른 어린이 수용양상과 교육적 함의 : 신현득의 동요문학선언과 동요시집을 중심으로
이용수 2
- 영문명
- Adoption of Children and Educational Implication According to Literarity of Children's Song - Focusing on Declaration of Children's Song as Literature and Collection of Children's Songs by Shin Hyeon Deu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신정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5권 제4호, 97~11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아동문학의 역사는 동요에서 시작되었다. 글이 없던 시대에도 어린이들은 노래를 흥얼거렸으며, 그들의 입을 통해 전해져온 구전동요는 어린이문학교육의 시발점이었다. 이러한 동요는 격변기를 거쳐 왔는데, 1960년대 동시작가로 불리던 시인들은 문학성을 잣대로 예술성이 떨어지는 동요를 짓지 않았다. 이 시기 아동문학의 출발이 동요에서 시작되었고, 어린이들에게 동요가 뗄 수 없는 장르라는 것을 인식한 신현득은 몇 동시작가들과 함께 동요문학선언을 공표하여 동요부흥운동을 전개해 나간다. 또한 그가 출간한 동요시집에 실린 작품들은 그가 동요를 시적 경지에까지 끌어올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후 동요시는 어린이들이 읽고 마는 시에서 문학적인 감동을 주는 성격의 것으로 변화한다. 어린이들은 언어적 표현에 의한 시적 형상화를 직접 체험하면서, 시의 아름다움을 맛보게 된다. 뿐만 아니라, 자연물을 통한 잔잔하면서도 동심의 색채가 강한 어조는 어린이들로 하여금 정서적 몰입을 가능케 하며, 안정되고 풍요로운 살아갈 수 있는 힘도 안겨준다. 이처럼 동요는 어린이의 정서 또는 가치관 형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동요의 문학성 정립을 위한 꾸준한 노력은, 어린이문학 교육적 측면에서도 분명한 발전을 가져올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tarted from children's songs. When there were no letters, children sang a song, and children's folk songs passed on by word of mouth was the starting point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ese children's songs endured sudden changes, and the poets who were called writers of children's poems did not compose children's songs with low artistic quality with criteria of literarity. At that time, the starting point of children's literature began from children's songs, and Shin Hyeon Deuk who recognized it as a children’s genre, published a declaration of children's songs as literature with other writers of children's poems and conducted a children's song revival movement. And the pieces in his own collection of children's song showsraised the genre up to the poetic level. Since then, children's songs changed from just poems read by children to those thatprovide literary impression. Children experience poetic formation through lingual expressions and enjoy the beauty of poems. Also, a calm but strong child-like tone with nature makes children emotionally immersed and provides a stable and abundant life force. Therefore, children's songs have a hug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children's emotions or sense of values. Continuous efforts to build literarity of children's songs is expected to develop the educational aspect of children's literature.
목차
Ⅰ. 연구목적
Ⅱ. 연구방법 및 절차
Ⅲ. 동요· 동요시의 형식적 특성
Ⅳ. 전통과 소통의 동요
Ⅴ. 결 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 활용 또래중재 문제해결 토의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창의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그림책에 나타난 공동체문화 양상 연구
- 한설야의『금강선녀』 연구 - <나무꾼과 선녀> 설화 변용을 중심으로 -
- 그림책에서의 만화적 표현 연구 - 매체 변환의 관점을 중심으로 -
-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기관풍토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저탄소 녹색성장 관련 스마트전자책활용에 따른 유아-교사 상호작용과 저탄소 녹색성장 관련개념 발현양상
- 스마트폰을 활용한 영아기 아버지교육이 아버지 부모효능감 및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슈타이너의 인지학에 기초한 발도르프교육이 한국의 생태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 고찰
- 국내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음식과 식생활의 내용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은유(metaphor) 분석
- 동요의 문학성에 따른 어린이 수용양상과 교육적 함의 : 신현득의 동요문학선언과 동요시집을 중심으로
- 유아 교육용 율동동요 애플리케이션 평가 및 내용 분석 -등장인물, 음악, 율동 요소 분석 중심으로 -
- 어린이 전자그림책의 교육적·문학적 의미
- 퍼스(Peirce)의 기호학적 관점에 의한 그림책 분석 - 이수지의『동물원』을 중심으로 -
- 그림책에 나타난 관계성 분석 : 태내기 주제 그림책을 중심으로
- 포토그라피와 유아: 이론적 탐색
- 어린이를 위한 전자그림책의 연구 동향
- 크로스오버 그림책의 이중 수용 양상 : 『Pish, Posh, Said Hieronymus Bosch』 분석을 중심으로
- 환상동화를 통한 그림 그리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을 활용한 감성교육활동이 만4세 유아의 정서지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2009 개정 초등교육과정 1,2학년 국어 교과서 수록 그림책에 나타난 성역할 분석
-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 비교 분석
-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를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사상 형성 : 그림책 읽기를 중심으로
- 유아기 자녀의 독서활동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및 자녀와의 상호작용
-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의 세계시민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분석
- 만 3~5세유아의 컴퓨터 게임행동과 인구 사회학적, 심리·사회적 행동변인 및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 구성주의 교사교육 관점의 '숲유치원 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의 의미
- 유아교사의 제반변인에 따른 유아문제행동 지도능력과 교사-유아 관계의 질에 대한 연구
- 일상물중심의 수학교육과정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 관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메타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