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슈타이너의 인지학에 기초한 발도르프교육이 한국의 생태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 고찰
이용수 4
- 영문명
- Study on Implication of Waldorf Education based on Steiner's Anthroposophy on Korea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유라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5권 제4호, 501~5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과 슈타이너의 인지학에 기초한 발도르프교육의 공통점을 이해하고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발도르프교육이 생태유아교육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알아보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통적으로 생태유아교육과 발도르프교육은 산업시대의 물질만능주의와 인간소외, 그리고 생명파괴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인 교육으로서 성격을 갖고 있어 자연과 삶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교육방법 및 내용에서도 이들 간에 공통점이 나타나고 있다. 슈타이너 인지학과 그에 기초한 발도르프교육은 인간본질에 대한 이해로부터 발달단계를 설정하여 유아교육에서부터 초중등교육에까지 지속되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생태유아교육역시 유아교육에서부터 초중등교육을 포함하는 체계적이고 연계성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인간에 대한 본질적 이해로부터 학습원리와 방향을 제시하는 슈타이너의 인지학내 기초한 발도르프교육은 생태유아교육이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교과교육과 연계하는 방법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implication of Waldorf education o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by understanding common ground betwee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aldorf education based on Steiner's anthroposophy and exploring the difference. Commonly,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aldorf education have the characteristic of alternative education to overcome mammonism, human alienation of industrial era, and the problem of destruction of life, therefore, there are common points between them in respect of educational method and content, e.g. operating the program to experience the nature and the life. Steiner's anthroposophy and Waldorf education based on that suggest systematic educational process which is continued from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by establishing developmental stage from the understanding of human essenc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lso, it is important to operate a curriculum which is systematic and connective, including from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researcher considers that Waldorf education based on Steiner's anthroposophy, which suggests the essential understanding of human, leaning principle and direction can give an implication o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to compose systematic curriculum and prepare the method to connect to curriculum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생태유아교육
Ⅲ. 슈타이너 인지학에 기초한 발도르프교육
Ⅳ. 슈타이너의 인지학과 그에 기초한 발도르프교육이 생태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
V. 결 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 활용 또래중재 문제해결 토의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창의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그림책에 나타난 공동체문화 양상 연구
- 한설야의『금강선녀』 연구 - <나무꾼과 선녀> 설화 변용을 중심으로 -
- 그림책에서의 만화적 표현 연구 - 매체 변환의 관점을 중심으로 -
-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기관풍토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저탄소 녹색성장 관련 스마트전자책활용에 따른 유아-교사 상호작용과 저탄소 녹색성장 관련개념 발현양상
- 스마트폰을 활용한 영아기 아버지교육이 아버지 부모효능감 및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슈타이너의 인지학에 기초한 발도르프교육이 한국의 생태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 고찰
- 국내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음식과 식생활의 내용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은유(metaphor) 분석
- 동요의 문학성에 따른 어린이 수용양상과 교육적 함의 : 신현득의 동요문학선언과 동요시집을 중심으로
- 유아 교육용 율동동요 애플리케이션 평가 및 내용 분석 -등장인물, 음악, 율동 요소 분석 중심으로 -
- 어린이 전자그림책의 교육적·문학적 의미
- 퍼스(Peirce)의 기호학적 관점에 의한 그림책 분석 - 이수지의『동물원』을 중심으로 -
- 그림책에 나타난 관계성 분석 : 태내기 주제 그림책을 중심으로
- 포토그라피와 유아: 이론적 탐색
- 어린이를 위한 전자그림책의 연구 동향
- 크로스오버 그림책의 이중 수용 양상 : 『Pish, Posh, Said Hieronymus Bosch』 분석을 중심으로
- 환상동화를 통한 그림 그리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을 활용한 감성교육활동이 만4세 유아의 정서지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2009 개정 초등교육과정 1,2학년 국어 교과서 수록 그림책에 나타난 성역할 분석
-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언어활동 비교 분석
-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를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사상 형성 : 그림책 읽기를 중심으로
- 유아기 자녀의 독서활동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및 자녀와의 상호작용
-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의 세계시민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분석
- 만 3~5세유아의 컴퓨터 게임행동과 인구 사회학적, 심리·사회적 행동변인 및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 구성주의 교사교육 관점의 '숲유치원 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의 의미
- 유아교사의 제반변인에 따른 유아문제행동 지도능력과 교사-유아 관계의 질에 대한 연구
- 일상물중심의 수학교육과정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 관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메타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