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태유아교육 관련 교과목 경험 유무에 따른 예비유아교사들의 ‘숲교육’에 대한 지식비교연구
이용수 1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Forest Education Concept Mapp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Experience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5권 제3호, 297~32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 관련 교과목 수강 경험 유무에 따른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숲교육’에 대한 지식과 내용, 수준 등을 비교분석하여 이들의 현 지식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한 ‘숲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예비교사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B시와 K시에 소재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총 108명을 대상으로 상위개념의 수, 내용요소에 따른 수, 종속개념의 수, 특성, 위계, 밀도, 깊이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생태유아교육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는 ‘자연친화,’ ‘자연의 섭리’와 같은 생태적 사유를 포함하는 용어들이 포함된 ‘자연(숲)’을, 수강하지 않은 예비유아교사는 ‘생물(동식물)’의 개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자연에서 얻는 것,’ ‘자연현상,’ ‘뒷산’과 같이 자연을 대상화하는 용어들이 많이 나타났다. 둘째, 생태유아교육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의 숲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에서 ‘자연(숲)’이 종속개념, 위계, 특성화 점수에서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생태유아교육 관련 교과목을 수강하지 않은 예비유아교사의 숲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에서 종속개념은 ‘자연’, 위계는 ‘아이’, 특성점수는 ‘교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도는 1.00에서 3.25의 범위로 나타났다. 넷째, 생태유아교육 수강 경험 여부에 따른 ‘숲교육’에 대한 개념도 특성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2.74, p<.01).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숲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지식과 내용, 수준 등을 진단하고 ‘숲교육’ 활성화를 위한 예비교사교육의 방향성 모색 및 ‘숲교육’의 올바른 실천에 도움을 주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conceptual mapping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how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ptualize Forest Education based on their experience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54 pre-service teachers having any experience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nother 54 pre-service teachers having no experience of it were participants. Based on Novak and Gowin's(1984) idea of teachers' knowledge and conceptual diagram, this study examined the number of upper category, the number of subcategories, characteristics, hierarchy, and density of 108 numbers of conceptual mapping of Forest Education. First, pre-service teachers having experience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sidered ‘nature’ as the most important concept of Forest Education. On the other hand, pre-service teachers having no experience wrote about ‘life creatures such as animals and trees’ more frequently in their conceptual mapping. Second, with regards to the density and hierarchy of concept on Forest Education, the general score of 102 participants was from 1.00 to 2.00. This range is not wide compared to other knowledge of content-based subjects such as science, multicultural education, literacy and music. These findings can be interpreted that both groups of pre-service teachers might not organize their knowledge of Forest Education hierarchic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basic philosophy and principle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might be included in the pre-service teacher program of Forest Education since it can give an opportunity to develop ecological awareness and min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만 5세 수학적 탐구하기와 ‘수학과 교육과정’ 초등 1학년 연계성 고찰
-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관한 연구
-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교사의 수업목표 인식과 설정에 따른 유아문학수업 개선 사례
- 유아의 태내기 인식 연구 : 태내기 주제 그림책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 미국 다문화 그림책에 그려진 한국계 미국 어린이 이미지 - 한국계 미국 어린이가 주요 인물로 등장한 그림책을 중심으로 -
-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코칭이 유아의 독서환경,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한국 스테디셀러 그림책의 특성
- 한국 수출그림책에 나타난 문화상징에 관한 연구
- 가정연계 발달기록부에 나타난 학부모의 반응
- 타샤 튜더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의 행복감 향상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지도 유형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교사의 태도 분석 : 교사의 색맹적 태도를 중심으로
- 부산지역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실태 및 요구조사 -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
- 전체보기 주제분류 Best논문 매거진(잡지) 저널발행기관 IDEAidea 정기구독(개인) 회원혜택 아카루트 소속 기관/학교 인증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및 조직 몰입과의 관계
- 비판적 반성 중심의 다문화 교사교육을 통한 유아교사의 관점 변화
- 생태유아교육 관련 교과목 경험 유무에 따른 예비유아교사들의 ‘숲교육’에 대한 지식비교연구
- 3∼5세 유아용 인성척도 개발연구
- 유아교사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불안감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및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