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태내기 인식 연구 : 태내기 주제 그림책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이용수 7
- 영문명
- A study on children's perception of prenatal period : Focusing on children's response of prenatal theme picturebook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5권 제3호, 69~9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태내기의 중요성이 확대됨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태내기 관련 그림책을 보며 나타난 유아들의 반응을 통해 유아가 태내기에 관해 어떻게 인식하며 이해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태내기를 다룬 3권의 그림책을 연구자가 만 3-4세 유아들과 함께 읽는 구조적 상황을 구성한 후 유아들의 반응을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들은 임신과 출산에 따른 여성의 외형적 변화와 그 결과인 태아의 존재에 대해 경험적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둘째, 태내환경의 구체적인 모습이 어떠한지에 대해서는 개인의 지식과 상상에 따라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셋째, 유아들은 태아의 모습을 크기는 다르지만 이미 태어난 아기들의 모습과 같을 것이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유아들은 출산 방법과 시기에 대해 자신의 경험이나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각각 다른 의견들을 나타냈다. 결국 태내기를 다룬 그림책을 함께 읽어나감으로써 태내기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는 기회로 활용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how children recognize and understand prenatal period through their reaction to the picturebook of prenatal period, which is increasing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importance of prenatal period. To do this, the researcher created and observed a structural situation that the researcher read three picturebooks of prenatal period with the 3-4 year old children. As the research result, first, in many cases children empirically recognized the woman's external change according to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the existence of fetus, which is the result thereof, second, they showed various response to the concrete figure of prenatal environment according to personal knowledge and imagination. Third, children understood that external appearance of fetus is same as a newborn baby. Lastly, children had a divergence of opinion of childbirth way and period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and background. Ultimately, the researcher could confirm that toddlers could get expectation about their younger sister(brother) to be born by shared reading of the picturebooks of prenatal period, also, this research implies that life dwells in prenatal periodex.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만 5세 수학적 탐구하기와 ‘수학과 교육과정’ 초등 1학년 연계성 고찰
-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관한 연구
-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교사의 수업목표 인식과 설정에 따른 유아문학수업 개선 사례
- 유아의 태내기 인식 연구 : 태내기 주제 그림책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 미국 다문화 그림책에 그려진 한국계 미국 어린이 이미지 - 한국계 미국 어린이가 주요 인물로 등장한 그림책을 중심으로 -
-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코칭이 유아의 독서환경,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한국 스테디셀러 그림책의 특성
- 한국 수출그림책에 나타난 문화상징에 관한 연구
- 가정연계 발달기록부에 나타난 학부모의 반응
- 타샤 튜더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의 행복감 향상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지도 유형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교사의 태도 분석 : 교사의 색맹적 태도를 중심으로
- 부산지역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실태 및 요구조사 -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
- 전체보기 주제분류 Best논문 매거진(잡지) 저널발행기관 IDEAidea 정기구독(개인) 회원혜택 아카루트 소속 기관/학교 인증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및 조직 몰입과의 관계
- 비판적 반성 중심의 다문화 교사교육을 통한 유아교사의 관점 변화
- 생태유아교육 관련 교과목 경험 유무에 따른 예비유아교사들의 ‘숲교육’에 대한 지식비교연구
- 3∼5세 유아용 인성척도 개발연구
- 유아교사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불안감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및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Translation Report on English-Chinese of Smart Thinking (Excerpts)
- Integrating the Spirit of the 20th National Congress of the CPC into the Teaching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in Higher Education: Reflections and Practices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