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판적 반성 중심의 다문화 교사교육을 통한 유아교사의 관점 변화
이용수 10
- 영문명
- Transforming Perspectives through Critical Reflection: Preparing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Educator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임민정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5권 제3호, 273~29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사학위과정 다문화교육 수업에서 비판적 반성을 유발하는 학습경험을 제공하고 유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관점과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교육 연구 강좌에서 수집된 문서자료와 강의종료 이후 7인의 주요 참여자들과의 각 2회에 걸쳐 수행된 후향 면담 전사본이 질적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대부분이 수업 초기 집단주의 문화 정체성을 보였고, 다문화 교육의 개념을 상호 어울림을 강조하는 대인관계 접근이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수업이 진행되면서 교사들은 당연시했던 편견을 인식하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새로운 개념 형성과 교사 책무성을 자각하는 실천적 반성을 나타냈으며, 관점 전환에 영향을 미친 학습조건으로 의사소통 및 비판적 반성의 제공, 실행공동체 형성, 행동 실천의 어려움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및 유아교사의 비판적 사고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students’ changes in perspective in a multicultural education seminar course in a bachelor’s degree program that attempts to transform learning through critical reflection. Data was drawn from a qualitative analysis of course documents and two rounds of retrospective interviews with seven focal interviewees after the semester end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ossessed collectivist cultural identities and understood multicultural education as an approach to human relationship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s the semester went on, the teachers showed changes in their points of view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included recognizing their taken-for-granted prejudices, reconceptualizing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ngaging in practical reflection on teacher accountability. Influential conditions for transforming learning include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dialogue and critical reflection and developing the community of practice among classmates. The major barrier against transformation was difficulty in putting critical perspectives into practice. Based on these findings, critical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are discussed with regard to preparing perspective and in-service training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become critical practitioners in refle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만 5세 수학적 탐구하기와 ‘수학과 교육과정’ 초등 1학년 연계성 고찰
-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관한 연구
-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교사의 수업목표 인식과 설정에 따른 유아문학수업 개선 사례
- 유아의 태내기 인식 연구 : 태내기 주제 그림책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 미국 다문화 그림책에 그려진 한국계 미국 어린이 이미지 - 한국계 미국 어린이가 주요 인물로 등장한 그림책을 중심으로 -
-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코칭이 유아의 독서환경,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한국 스테디셀러 그림책의 특성
- 한국 수출그림책에 나타난 문화상징에 관한 연구
- 가정연계 발달기록부에 나타난 학부모의 반응
- 타샤 튜더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의 행복감 향상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지도 유형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교사의 태도 분석 : 교사의 색맹적 태도를 중심으로
- 부산지역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실태 및 요구조사 -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
- 전체보기 주제분류 Best논문 매거진(잡지) 저널발행기관 IDEAidea 정기구독(개인) 회원혜택 아카루트 소속 기관/학교 인증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및 조직 몰입과의 관계
- 비판적 반성 중심의 다문화 교사교육을 통한 유아교사의 관점 변화
- 생태유아교육 관련 교과목 경험 유무에 따른 예비유아교사들의 ‘숲교육’에 대한 지식비교연구
- 3∼5세 유아용 인성척도 개발연구
- 유아교사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불안감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및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