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지도 유형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7
- 영문명
- The Effects of Ball Exercise Instruction on Young Children’s Daily Stress and Enjoyment from Their Physical Activit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윤소연 김민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5권 제3호, 195~22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지도 유형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만5세 유아 40명을 20명씩 두 실험집단에 배치하였다. 실험집단 1은 유아주도의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을, 실험집단2는 교사주도의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주도의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을 실시한 유아들의 검사점수가 교사주도의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을 실시한 유아들의 검사점수보다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하위요소 중 자존감 손상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주도의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을 실시한 유아들의 검사점수가 교사주도의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을 실시한 유아들의 검사점수보다 신체활동 즐거움의 하위요소 중 창의성을 제외하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주도의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교사주도의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보다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 및 신체활동 즐거움을 향상시키는 데 보다 더 효과적인 교수방법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ll exercise instruction on young children’s daily stress and enjoyment from physical activity. The participants were 40 five-year-old children,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participated in teacher-guided practice whereas the second group carried out student-centered game-based activ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s of the student-centere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teacher-guided practice group in two areas of daily stress: condemnation and criticism situation and anxiety and frustration experience.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amage to self-esteem area of daily stres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student-centered group earned higher scores in the four areas of enjoyment from physical activity: confidence, fun, health, and cooperation.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creativity scores. Th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centered ball exercise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young children’s daily stress and enhancing their enjoyment from physical activ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만 5세 수학적 탐구하기와 ‘수학과 교육과정’ 초등 1학년 연계성 고찰
-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관한 연구
-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교사의 수업목표 인식과 설정에 따른 유아문학수업 개선 사례
- 유아의 태내기 인식 연구 : 태내기 주제 그림책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 미국 다문화 그림책에 그려진 한국계 미국 어린이 이미지 - 한국계 미국 어린이가 주요 인물로 등장한 그림책을 중심으로 -
-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코칭이 유아의 독서환경,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한국 스테디셀러 그림책의 특성
- 한국 수출그림책에 나타난 문화상징에 관한 연구
- 가정연계 발달기록부에 나타난 학부모의 반응
- 타샤 튜더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의 행복감 향상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지도 유형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교사의 태도 분석 : 교사의 색맹적 태도를 중심으로
- 부산지역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 실태 및 요구조사 -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
- 전체보기 주제분류 Best논문 매거진(잡지) 저널발행기관 IDEAidea 정기구독(개인) 회원혜택 아카루트 소속 기관/학교 인증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및 조직 몰입과의 관계
- 비판적 반성 중심의 다문화 교사교육을 통한 유아교사의 관점 변화
- 생태유아교육 관련 교과목 경험 유무에 따른 예비유아교사들의 ‘숲교육’에 대한 지식비교연구
- 3∼5세 유아용 인성척도 개발연구
- 유아교사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불안감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및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