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라깡의 정신분석 이론을 통한 그림책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분석
이용수 8
- 영문명
- The analysis of “Who pooped on my head?” based on psychoanalytic theory of Laca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장성단 이주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1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를 대상으로 텍스트에 내재된 심층의미와 주인공의 심리발달 과정을 Lacan의 정신분석 이론 중 상상계와 상징계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Lacan은 유아의 심리발달을 어머니와 환상적으로 결합된 상상계에서 아버지의 법이 지배하는 상징계로 향하는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아버지의 법이 지배하는 상징계에서 유아는 현실의 원리를 수용하고 언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회적 존재가 되는 것이다. 텍스트 분석의 결과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는 주인공이 배변과 관련된 사건을 통해 상상계에서 상징계로 진입하는 심리발달 과정을 담고 있었다. 배변규범을 받아들이고, 상징계의 주체가 되는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 텍스트는 유아의 심리발달을 지원하는 조력자로서의 역할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mantically analyzed the picture book, “Who Pooped on My Head?” from a psychological view using the psychoanalytic theory of Lacan. Lacan explained that children’s psychological development is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Imaginary, which is phantasmally combined with mother, to the Symbolic, which father’s law governs. The Symbolic, which father’s law governs, should accept the principle of reality and fulfill desire using language. By going through this process, children become social beings.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text, it was discovered that the story of the picture book, “Who Pooped on My head?”, followed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in which the main character moved from the Imaginary to the Symbolic, and suggested the meaning related to sadness, emotional conflict and nervousness which children experience when separated from mother in order to grow up from the Imaginary to the Symbolic. Hence, the picture book, “Who Pooped on My Head?”, played the role of helper in forming normal psychological structure of children by accepting the Other and by reaching reality in good condi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흥미영역의 통합이 남∙여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과 놀이감 사용에 미치는 영향 -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을 중심으로 -
- 라깡의 정신분석 이론을 통한 그림책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분석
- 교사특성에 기초한 레지오 교사의 관심사 및 어려움
- 한국 사실주의 그림책에 표현된 아동의 생활문화
- 전환학습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교육의 가능성 탐색 : 예비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반성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디자인 교육활용 수업경험 탐색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간의 구조분석
- 또래협동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반 영아의 또래 및 교사와의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
- 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통해 본 학기 초 이야기
- 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활동목표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