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 2세반 영아의 또래 및 교사와의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
이용수 13
- 영문명
- The Changing Process of Language Interaction of Infant-infant and Infant-teacher in a year Infant Clas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오영란 이대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1호, 103~13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만 2세반 영아들의 언어 상호작용을 관찰하면서 영아와 영아의 언어 상호작용과, 영아와 교사의 언어 상호작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질적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로는 ㄷ어린이집 만 2세 ㅂ반 영아 21명과 담임교사 3명을 선정하였으며, 2012년 5월부터 10월까지 총 6개월간 참여관찰 및 연구자의 저널쓰기, 부모면담일지, 관찰기록지, 아동종합평가지, 일일연락장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만 2세 영아반의 영아와 영아의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은 의성어나 의태어 중심의 사물에 대한 호칭에서 사물 본래의 이름을 호칭하는 것으로 변화되었고 분쟁 시 주로 몸으로 해결하다가 말도 함께 사용해 해결하며, 친구의 놀이에 참여하고 싶을 때 사전에 동의를 구하는 언어를 사용하는 변화를 보였다. 또한, 발음이 명료해지면서 영아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해지고, 간단히 주고 받는 대화에서 스토리를 만들어가는 놀이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만 2세 영아반의 영아와 교사의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은 영아가 예전의 경험에 대해 교사에게 이야기하였고, 분쟁 시 교사에게 울음으로 표현하던 영아가 자기 상황을 설명하였으며, 자신의 요구 사항을 행동으로 표출하던 영아가 말과 함께 제스처도 사용하는 변화를 보였다. 또한, 교사의 주변을 서성이던 영아가 자발적으로 스토리가 있는 놀이에 교사를 초대하고, 주로 그림에 관심을 갖고 책을 보던 영아가 점차로 교사에게 책이나 주변의 글자에 대해 관심을 표현하는 변화를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how infants’ language interaction have changed between infants and also teachers by evaluating various 2 year old infants’ interaction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twenty-one two-year old infants and three of their day-care teachers in ‘ㄷ’ day-care center.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researchers’ journals, parents’ interview diaries, observation records, children’s comprehensive evaluations, daily communication records, etc. The study revealed 2 year old infants’ language interactions between infants changed from using onomatopoeic words and mimetic words to characteristics words when they named things. Also, prior to the study, they usually used their bodies when they had trouble with friends. But, now they use not only their bodies but also their words. If they want to participate in friend’s play, they use words to obtain consent. Also, they can smooth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make simple stories, pronouncing with clarity. The 2 year old infants’ languag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changed in their telling of their past experiences to their teacher and explaining their situation rather than crying when they have trouble with friends, and using gestures with words rather than just expressing their needs with acting. Also, the infants who used to ignore their teacher invite their teacher into their play with some story voluntarily. The infants who had interest in pictures only changed to show their interest in words around the pictures and the book itself.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흥미영역의 통합이 남∙여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과 놀이감 사용에 미치는 영향 -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을 중심으로 -
- 라깡의 정신분석 이론을 통한 그림책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분석
- 교사특성에 기초한 레지오 교사의 관심사 및 어려움
- 한국 사실주의 그림책에 표현된 아동의 생활문화
- 전환학습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교육의 가능성 탐색 : 예비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반성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디자인 교육활용 수업경험 탐색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간의 구조분석
- 또래협동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반 영아의 또래 및 교사와의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
- 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통해 본 학기 초 이야기
- 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활동목표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