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특성에 기초한 레지오 교사의 관심사 및 어려움
이용수 3
- 영문명
- Reggio Teachers’ Concerns and Difficult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정효진 정정희 홍희주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1호, 55~8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특성에 기초하여 현재 레지오 접근법을 실천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관심사와 레지오 교사로서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현재 레지오 접근법을 실천하고 있는 교육기관에서 레지오 교사교육을 받고 있는 서울∙경기, 대구∙경북, 부산∙경남지역 유치원 교사 185명이다. 첫째, 레지오 교사들이 가장 관심이 있다고 지각한 범주는 ‘강화관심사’였으며, 다음으로 ‘생존관심사’, ‘성숙관심사’, 가장 낮은 관심을 보인 범주는 ‘갱신관심사’로 나타났다. 둘째, 레지오 교사의 관심사는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강화관심사’를 제외한 관심사 범주에서 학력 집단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레지오 교사들이 가장 많은 어려움을 느끼는 범주는 ‘시간운영’이었으며 다음으로 ‘대인관계’, ‘프로그램’, ‘능력개발’, ‘제도 및 시설’, 가장 낮은 어려움을 보인 범주는 ‘생활지도’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레지오 교사의 어려움은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력에 따라 어려움 하위범주, 즉 ‘프로그램’, ‘제도 및 시설’ 범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지오 교사들의 관심사와 어려움에 대한 논의는 레지오 교사들을 이해하고 어려움 해소를 위해 함께 고민하며 그들이 좀 더 교육에 몰입할 수 있는 근무환경 개선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eacher concerns and difficult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who are using the Reggio Emilia Approach and to enable us to understand teachers and find out some meaningful differences. Some of the research questions are shown below in this study. 1. What is the tendency of the perceived concerns of the Reggio teacher? 2. Are teachers' concerns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3. What is the tendency of the perceived difficulties of the Reggio teacher ? 4. Are teachers' difficulties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 outcome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of all, Reggio teachers are most interested in , that the perceived category was 'reinforced concerns', followed by 'survival concerns', 'maturity concerns'. 'Renewed concerns' category showed the lowest number of concerns. Secondly, teachers' concerns about the difference depending on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showed differences based on educational background, but not based on career. Third, Reggio teachers feel the most difficult category was 'hour' and 'living map' category showed the lowest difficulty. Fourth, when it came to the difference of sub-categorical difficulties depending on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 analysis showed beginning teachers recognized much more difficulty in guidance counsel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흥미영역의 통합이 남∙여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과 놀이감 사용에 미치는 영향 -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을 중심으로 -
- 라깡의 정신분석 이론을 통한 그림책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분석
- 교사특성에 기초한 레지오 교사의 관심사 및 어려움
- 한국 사실주의 그림책에 표현된 아동의 생활문화
- 전환학습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교육의 가능성 탐색 : 예비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반성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디자인 교육활용 수업경험 탐색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간의 구조분석
- 또래협동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반 영아의 또래 및 교사와의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
- 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통해 본 학기 초 이야기
- 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활동목표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