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간의 구조분석
이용수 10
- 영문명
- A Structural Analysis of Parental Attachment,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춘경 한은수 조민규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1호, 209~22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애착, 정서지능,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간접 영향을 밝혀, 변인들의 관계 구조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대구·경북에 거주하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6학년 학생 430명을 대상으로 학교적응, 부모애착,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도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다음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모애착과 정서지능, 자기효능감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애착은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모애착과 정서지능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애착은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모애착은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애착은 정서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초등학교 현장에서 학교적응을 위한 개입방법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variabl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430 students from the 5th to 6th grade in Gyung-buk/Daegu Province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school adjustment, parental attach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The sample variance-convariance matrix was analyzed using AMOS 18.0, and the maximum likehood minimization function(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ternal attach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of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rectly affects their school adjustment; however, the fraternal attachment that was perceived doesn't inherently or directly affect their school adjustment. Second, maternal attach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re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however, the perceived fraternal attachment doesn't inherently or directly affect their self-efficacy. Thirdly, maternal attachment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rectly affects their self-efficacy; however, the fraternal attachment that was perceived doesn't inherently or directly affect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Lastly, these results implicated intervention tactics for school adjustment and suggested possible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흥미영역의 통합이 남∙여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과 놀이감 사용에 미치는 영향 -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을 중심으로 -
- 라깡의 정신분석 이론을 통한 그림책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분석
- 교사특성에 기초한 레지오 교사의 관심사 및 어려움
- 한국 사실주의 그림책에 표현된 아동의 생활문화
- 전환학습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교육의 가능성 탐색 : 예비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반성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디자인 교육활용 수업경험 탐색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간의 구조분석
- 또래협동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반 영아의 또래 및 교사와의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
- 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통해 본 학기 초 이야기
- 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활동목표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