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통해 본 학기 초 이야기
이용수 1
- 영문명
- The Narrative About Situations That Happen in the Beginning of the Term Through Kindergarten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정 구혜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1호, 183~20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기 초 유아들의 유치원 적응을 돕고자하는 교사들의 반성적 저널을 통해 현실적인 대처를 할 수 있는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목적으로 한다. 유치원 교육 현장에서 중요한 시기라고 인식되는 학기 초 3월 동안 일어나는 현장의 소리와 교사의 이야기를 통해 학기 초에 일어나는 상황이나 사건에 대해 어떻게 사고하고 반성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6명의 현직 교사들이 3월 한 달간 주 4회에 걸쳐 쓴 반성적 저널과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기 초 이야기의 의미 있는 내용을 분석하여 8개의 주제가 도출되었고, 이 주제들을 다시 분석, 통합하여 총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과 면담을 통해 본 학기 초에 나타난 구체적인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이들을 이해하는 혼란의 학기 초’에서는 유치원이 싫은 아이들, 알록달록 다양한 아이들이다. 둘째, ‘부모와 관계 맺는 혼란의 학기 초’에서는 어색한 학부모와의 만남, 내 마음대로 학부모이다. 셋째, ‘혼란 속의 작은 사회’에서는 학기 초 버릇 1년 간다, 뒤죽박죽 안전지도이다. 넷째, ‘혼란에서 교육으로’에서는 커가는 아이들, 반성하는 교사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ggests that kindergarten teachers’ reflections on the field in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can be utilized as practical resources for teacher education. The study investigates how kindergarten teachers think and analyze the situations that happen in March - the beginning of the term - through reflective journals that they wrote about the field. For the study’s data, six current teachers wrote reflective journals four times a week in March, 2011, and had face to face meetings with the researcher. The data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four categories and eight sub-categories. According to the reflective journals and face to face meetings with teachers , the specific happenings in the beginning of the term a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when they can understand children, teachers found that there were children who did not like kindergarten and various children. Second, in the period when they get connections with children’s parents, teachers had awkward meetings with them. Third, in ‘a small society in the confusion’, they noticed that a habit formed in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continues all year. Teachers also realized that they had a hard time teaching safety education. Fourth, from ‘confused stages to education’, teachers became aware of growing children and realized the importance of self-reflection.
목차
Ⅰ. 시작하며
Ⅱ. 연구방법
Ⅲ. 유아교사의 학기 초 이야기
Ⅳ. 마무리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흥미영역의 통합이 남∙여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과 놀이감 사용에 미치는 영향 -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을 중심으로 -
- 라깡의 정신분석 이론을 통한 그림책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분석
- 교사특성에 기초한 레지오 교사의 관심사 및 어려움
- 한국 사실주의 그림책에 표현된 아동의 생활문화
- 전환학습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교육의 가능성 탐색 : 예비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반성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디자인 교육활용 수업경험 탐색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간의 구조분석
- 또래협동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반 영아의 또래 및 교사와의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
- 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통해 본 학기 초 이야기
- 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활동목표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