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흥미영역의 통합이 남∙여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과 놀이감 사용에 미치는 영향 -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을 중심으로 -
이용수 9
- 영문명
- The Effects of Integrating Play Areas on Peer Interaction and Toy Usage: Focusing on Block Area and Dramatic Play Area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전영아 전홍주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1호, 231~24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 실내 흥미영역의 통합이 남∙여 유아 간 상호작용과 놀이감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H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2학급의 유아 50명이었으며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을 통합한 실험집단 한 학급, 두 영역의 공간을 분리한 통제집단 한 학급에서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남녀에 따른 또래 상호작용과 놀이감 사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집단에 속한 남녀의 각 하위 영역별 빈도를 산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뒤 t검정을 통해 남녀의 놀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두 영역을 분리시킨 통제집단보다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이 통합된 실험집단에서 이성과의 상호작용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이성의 선호 놀이감을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 사이의 장애물을 제거한 물리적 환경이 놀이에서의 성역할 고정관념을 완화시키는 물리적 환경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est area integration on the peer interaction and toy use by gender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0 children aged 4 in H kindergarten located in D city. 25 children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re the barrier between block area and dramatic play area was removed and 25 children were in the comparison group where block area and dramatic play area were separate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category by gender were calculated and the gender difference was verified by t-test. As a result, the peer interaction with counter-gender friends in the experiment group was more active than in the comparison group, and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used more toys of counter-gender than in the comparis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ed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removing barriers between the block area and the dramatic play area, could be an environment which could lower the gender role stereotyp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흥미영역의 통합이 남∙여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과 놀이감 사용에 미치는 영향 - 쌓기놀이 영역과 역할놀이 영역을 중심으로 -
- 라깡의 정신분석 이론을 통한 그림책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분석
- 교사특성에 기초한 레지오 교사의 관심사 및 어려움
- 한국 사실주의 그림책에 표현된 아동의 생활문화
- 전환학습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교육의 가능성 탐색 : 예비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반성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디자인 교육활용 수업경험 탐색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간의 구조분석
- 또래협동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반 영아의 또래 및 교사와의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
- 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통해 본 학기 초 이야기
- 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활동목표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