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Action Research on the organization and Application of Parents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경화 김연진 배지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1권 제2호, 153~17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교사의 실행 과정을 알아봄으로써, 현장 교사의 목소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부모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부모교육 프로그램 6회가 실시되는 동안 교사의 실행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A시 햇빛유치원의 원장, 원감, 부모교육 참여 어머니 6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참여관찰, 면담, 문서 수집 등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은 ‘프로그램 준비와 부모의 목소리 듣기’, ‘언어교육의 목표 알기’, ‘실제로 들어가기’, ‘실제를 즐기기’, ‘실제를 창안하기’, ‘마무리, 그리고 스스로 나아가기’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둘째, 경험적 의미로 나타난 것은, ‘부담감 대 사명감’, ‘유아문학교육 부모교육을 위한 실행 전략 제시’, ‘나비 효과: 작은 변화에서 읽어내는 큰 미래’이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한 교사의 ‘심리적인 특성’, ‘실행 전략’을 발견하였고, 교육적 시사점을 얻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부모 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제시한 점과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의미를 교사의 실행 과정 차원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ganization and application proces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related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among teachers in an effort to give some suggestions on parent education programs geared toward providing effective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based from their perspective. How the selected teachers organized and conducted parent education programs was observ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ix people in Sunshine Kindergarten, who included the principal, vice principal and mothers. Data were gathered by making a participant observation, having an interview and collecting relevant docum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programs, the programs were carried out in the order of ‘program preparing and listening to parents,' ‘learning the objectives of language education,' ‘practicing,' ‘enjoying practicing,' ‘creating a better way,' ‘wrapping-up and going forward.' Second, there were several experiential meanings in the program implementation: ‘burden vs. a sense of mission,' ‘presenting action strategies for parent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and 'butterfly effect: small change and bright future.' The information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ction strategies' of the teachers who conducted the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was obtained in that process, and what suggestions they gave was discuss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scribed the importance of parent-centered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the significance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proc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 과정
Ⅳ.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경험적 의미’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Web 2.0시대의 인터넷 도구를 활용한 어린이문학 창작교육 가능성 탐색
- 다문화교육의 문학적 접근을 위한 이론적 탐색: 로젠블렛의 교류이론에 근거한 고찰
- 우리나라 그림책의 미국판 번역 비교 연구
- 소파 방정환에 의해 재창조된 번안동화의 작품세계 - 『사랑의 선물』을 중심으로 -
- 저소득층 유아 문학교육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유아의 문학적 반응에 대한 탐색
- 그림책의 시각적 수사학
- 도서관에서의 어린이 문학교육 프로그램 적용: ‘스토리텔링 극화하기와 책 읽어주기’의 의미
- 그림책, 빈틈의 미학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 그림책의 성인독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