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저소득층 유아 문학교육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유아의 문학적 반응에 대한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Response to the Literature of Young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through the Literature Education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곽아정 김유화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1권 제2호, 67~9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저소득 가정의 유아는 빈곤으로 인해 성장과 발달에 여러 가지 부정적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A시 드림스타트 사업의 지원을 받아 저소득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그림책 읽어주기, 이야기 다시 말하기, 이야기 예측하기, 책표지 만들기와 같은 문학교육 활동을 가정방문교사에 의해 일대일로 실시하는 문학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이후 나타난 저소득 가정유아의 문학적 반응을 질적 접근을 통하여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이야기 구성의 결속성 증가, 등장인물 행동의 유기적 연결이 드러났다. 또한 이야기 구성의 도입부를 스스로 시작하는 것, 이야기 구조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는 것, 등장인물, 문제, 해결에 관한 이해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그 외에도 인쇄물 개념의 이해, 대사 구연을 통한 의미전달력 향상, 문학교육활동에 대한 거부감 감소와 문학교육활동에 대한 집중도 증가를 나타냈다.
영문 초록
The young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are influenced negatively on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by poverty.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a literature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of the literature educational activities such as reading story book, retelling the story and predicting a story, delivered by the home-visit teacher on face-to-face basis. This study also analyzed response to the literature of the young children in low-income class famili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hesion of story construction, organic connection of the behaviors of characters and understanding of story structure, character, problem and its solution. Also they showed decrease in the repulsive feeling against the literature educational activities and increase in concentration ability. In addition, they showed the enhanced ability in delivering the meaning of the story through nar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Web 2.0시대의 인터넷 도구를 활용한 어린이문학 창작교육 가능성 탐색
- 다문화교육의 문학적 접근을 위한 이론적 탐색: 로젠블렛의 교류이론에 근거한 고찰
- 우리나라 그림책의 미국판 번역 비교 연구
- 소파 방정환에 의해 재창조된 번안동화의 작품세계 - 『사랑의 선물』을 중심으로 -
- 저소득층 유아 문학교육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유아의 문학적 반응에 대한 탐색
- 그림책의 시각적 수사학
- 도서관에서의 어린이 문학교육 프로그램 적용: ‘스토리텔링 극화하기와 책 읽어주기’의 의미
- 그림책, 빈틈의 미학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 그림책의 성인독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