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의 성인독자
이용수 13
- 영문명
- Adult Audience of Picture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수미 현은자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1권 제2호, 179~20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의 이중독자 연구의 한 부분으로써 성인독자가 선호하는 그림책을 조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림책은 어린이를 독자로 하는 문학작품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그림책들이 출판되고 있기 때문에 성인 독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정의한 성인 독자는 만 20세 이상의 남녀 성인이다. 그리고 이 성인독자는 교육적 의도를 지닌 부모 및 유아교사와 교육적 의도가 없는 일반 성인으로 구분되었다. 연구 대상은 성인독자와 설문지를 통해 선정된 132권의 그림책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7.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독자가 선호하는 그림책을 조사하여 목록으로 제시하였으며, 그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이 주로 번역그림책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성인독자의 교육적인 의도는 그림책을 선호함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이는 국내 그림책 작가와 교육적 의도를 가지고 그림책을 접하는 성인독자에게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In general, picturebooks have been recognized as the genre that addresses a audience of children. Today, children, however, are not recognized as the only audience of picturebooks any more. Also, there are recent works that allude to the possibility of dual audience in children's literature. On the contrary, there is no study focusing on picturebooks, especially adult audiences��}point of view,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ferred picturebooks of adult audiences in the part of the study on the dual audience. This study made a survey of favorite picturebooks to adult audiences and analyzed the favorite picturebooks. In this study, the adult audiences were adults over age 20. I divided the adult audiences into two groups; general adults,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volved 323 adults and 132 picturebooks from the survey. In analyzing data, this study used SPSS 1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duced a list of picturebooks that the adult audiences prefer and identified that these picturebooks are mainly translations. This study showed that educational intention held great appeal for the adult audiences, especially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 selecting favorite picturebooks. Also, this study revealed the picturebooks that have the dual audienceship in Korea.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assist writers and publishers in creating or working picturebooks and that picturebook play a role is the resources for children and adults in children's literature.
목차
Ⅰ.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Web 2.0시대의 인터넷 도구를 활용한 어린이문학 창작교육 가능성 탐색
- 다문화교육의 문학적 접근을 위한 이론적 탐색: 로젠블렛의 교류이론에 근거한 고찰
- 우리나라 그림책의 미국판 번역 비교 연구
- 소파 방정환에 의해 재창조된 번안동화의 작품세계 - 『사랑의 선물』을 중심으로 -
- 저소득층 유아 문학교육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유아의 문학적 반응에 대한 탐색
- 그림책의 시각적 수사학
- 도서관에서의 어린이 문학교육 프로그램 적용: ‘스토리텔링 극화하기와 책 읽어주기’의 의미
- 그림책, 빈틈의 미학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 그림책의 성인독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 기업 및 성인교육 글로벌화를 위한 이슈와 과제 : 세계시민교육을 중심으로
- 코칭리더십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잡크래프팅과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중년 여성의 디지털 평생교육 참여 경험의 의미와 HRD 관점의 실천 방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