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림책, 빈틈의 미학

이용수  11

영문명
A picture book, aesthetics of the crack(Lücke)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김정선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1권 제2호, 121~13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후기 구조주의적 의미에서 그림책의 텍스트는 언어 텍스트와 이미지 텍스트, 더 나아가 책의 물리적 형태라는 오브제로 텍스트 개념이 확장되었다. 다양한 텍스트의 결합은 수용미학자들이 주장하던 빈 틈(Lücke)을 기존의 책들에 비해 훨씬 더 다양하게 형성하게 되고, 그 틈을 통하여 독자들은 작품에 참여하고 새로운 경험과 이해를 경험하게 된다. 수용미학이 형성되기 이전에 이미 이탈리아의 작가 Bruno Munari의 그림책에서 그 틈을 찾아 볼 수 있다. 하지만 Munari의 틈은 Wolfgang Iser의 그 틈과 달리 나이가 어린 독자라는 점을 감안하여 계획적인 틈을 조성함으로 보다 적극적인 독자의 참여를 유도하였다.

영문 초록

Post-structuralism makes it possible for picture books to have multiple text, such as linguistic text, image text and physical-form text. Combination of these variety text in picture books causes more cracks than in any other books. Readers fill in the crack with taking part, their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Bruno Munari who is very famous artist in Italy has founded the crack in his picture books even before the reception theory has built. Munari's crack is different, though. His is so planned that can lead more active participation of young readers.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선. (2010).그림책, 빈틈의 미학.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1 (2), 121-132

MLA

김정선. "그림책, 빈틈의 미학."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1.2(2010): 121-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