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후 놀이에 관한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8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Play after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백경순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3권 제4호, 321~34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시작된 시점인 2020년 3월부터 수행된 논문 중에서 놀이를 주제로 한 논문을 선정하여 그 연구동향을 알아보고 앞으로 놀이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논문은 등재지에 게재된 놀이에 관한 논문 70편으로 하였다. 분석기준은 연구의 내용, 연구대상, 연구방법, 자료수집방법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의 내용은 유아의 놀이행동, 교사들의 교수행동, 놀이 또는 교사역할 등에 대한 교사인식, 교수매체, 교사교육, 문헌고찰이었다. 둘째, 연구대상은 교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유아이었고, 주로 만 5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셋째, 연구방법은 질적연구가 대부분으로 유아들의 놀이양상과 교사들의 현장 목소리를 담아내고 있었다. 넷째, 자료수집방법은 면담과 관찰을 주로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놀이의 가치를 재인식하였으며, 진정한 놀이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량이 중요하다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play after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This study reviewed 70 research studies on play,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The 70 research studies were analyzed by research content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data collection methods. As a result, concerning research areas, teachers’ perception of play and the teacher’s role, literature on play, aspects of children’s play, teacher’s instructional behavior, play environment, and teacher education were investigated by field studies. Second, most of the subjects of these studies were teachers, which showed that researchers were interested in the role of teachers. Moreover, in the case of children, researchers selected 5-year-old children for the subjects of these studies. Third,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find the play patterns and teachers’ voices. Fourth, interview and observation were used to collect data. Teacher’s interviews were mostly frequently used Finally, the value of play was re-recognized and it was concluded that teachers’ competence is important for real play to occu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아 문학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2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다문화 교육용 그림책 선정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혁신교수법 경험이 실천적 지식형성에 미치는 영향 : 혁신교수법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
- Anthony Browne의 〈겁쟁이 윌리〉의 세계관 분석
- 영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수업환경조절전략 활용능력에 관한 연구
- 그림책 감상 활동에서 나타나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의 특성 연구
- 어린이집 평가제 평가지표에 근거한 보육서비스 품질향상을 위한 상호작용 기록화 컨설팅 방안 및 적용
- 반려식물 돌보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에 나타난 전쟁의 이미지 분석 : 2011~2021년 출판물을 중심으로
- 열린어린이집 운영 연차에 따른 교사와 원장의 운영 실태
- 전래동화 속 여자아이의 주체의 완성 : 백희나의 『연이와 버들도령』을 중심으로
- 영아와 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영아반 교육과정의 협력적 실행과정
- 자연물을 활용한 영아의 탐구 경험에 대한 연구
-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후 놀이에 관한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