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림책에 나타난 전쟁의 이미지 분석 : 2011~2021년 출판물을 중심으로

이용수  8

영문명
An Analysis of Images of War in Picture Books : Focusing on 2011-2021 Publication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김낙흥 맹주영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3권 제4호, 59~8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쟁에 관한 그림책의 텍스트를 통하여 작가가 독자에게 전하고자 하거나 독자가 새롭게 구성해 나갈 수 있는 이미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출판된 전쟁 관련 그림책 34권을 선정하여 전쟁 관련 그림책의 장르와 역사적 배경, 주인공, 전쟁 관련 용어, 전쟁의 원인과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픽션이 일반픽션보다 두배 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사픽션의 역사적 배경으로 ‘6.25 전쟁’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전쟁을 겪는 어린이 주인공이 어른에 비해서 더 많이 나타났으며, 성별은 남자 주인공이 여자 주인공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어린이와 어른 주인공 내에서의 성비를 알아본 결과, 남성으로서 어른 주인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넷째, 다양한 용어가 전쟁, 정서, 무기, 상해/죽음, 군인, 장소, 기타 영역에서 구체적으로 묘사되었다. 다섯째, 전쟁의 원인에 대하여는 대부분이 잘 나타나지 않았으며 전쟁의 결과는 죽음, 피난, 헤어짐, 구속/속박, 기타의 순으로 표현되었다. 그림책의 전쟁 이미지들은 전쟁 속에서 겪게 되는 인간의 군상을 실제적으로 조명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ages that the author wants to convey to the reader or that the reader can newly construct through the text of picture books about war. To this end, 34 war picture books published from 2011 to 2021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cusing on the genre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war picture books, main characters, war-related terms, and causes and effects of the war.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ore than twice as many historical fiction as general fiction picture books. Second, the ‘6.25 War’ appeared the most as a historical background for historical fiction. Third, there were more child protagonists who went through war than adults, and in terms of gender, there were more male protagonists than female protagonis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ex ratio within children and adult protagonists, adult protagonists appeared the most as men. Fourth, various terms were specifically described for war, emotion, weapons, injury/death, soldiers, places, and other areas. Fifth, most of the causes of the war were not well expressed, and the results of the war were expressed in the order of death, evacuation, separation, restraint/binding, and others. The war images in the picture book actually shed light on the experiences of the human group in the wa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낙흥,맹주영. (2022).그림책에 나타난 전쟁의 이미지 분석 : 2011~2021년 출판물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 (4), 59-81

MLA

김낙흥,맹주영. "그림책에 나타난 전쟁의 이미지 분석 : 2011~2021년 출판물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4(2022): 59-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