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집 평가제 평가지표에 근거한 보육서비스 품질향상을 위한 상호작용 기록화 컨설팅 방안 및 적용
이용수 17
- 영문명
- Consulting plan and application of interaction document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based on the Evaluation of Child Care Center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송미리내 유구종 이건우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3권 제4호, 175~20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어린이집 평가제에 근거한 상호작용 기록화 컨설팅 모형 구안을 위해 목적, 내용, 수행 방법을 중심으로 선행문헌 분석, 상호작용의 인식과 중요성 조사(빈도분석 및 교차분석), 포커스그룹 인터뷰, 전문가 타당화 절차를 진행하고, 구안된 상호작용 기록화 컨설팅 모형을 예비 적용하여 최종 상호작용 기록화 컨설팅 모형을 구성하였다. 또한 실험집단 교사 12명, 비교집단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최종 구안된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일원공변량분석·이원반복측정분석 및 사례분석을 통해 평가제 상호작용 평가요소의 증진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상호작용 기록화 컨설팅 모형 적용에 따라 상호작용 요소평가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어린이집 평가제에 근거한 기록화 컨설팅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o devise an interaction documentation consulting model based on the childcare center evaluation system, we conducted an analysis of prior literature focusing on the purpose, content, and performance method, investigation of the perception and importance of interaction (frequency analysis and cross-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 and expert validation review. The final interaction documentation consulting model was devised by preliminary application of the devised interaction documentation consulting model. In addition, the devised model was applied to 12 teachers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12 teachers in a comparison group, and the enhancement effect on the evaluation system interaction evaluation factors was examined through one-way covariate analysis, two-way repeated measures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documentation consul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action factor evaluation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documentary consulting method based on the evaluation system for daycare centers was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절차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아 문학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2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다문화 교육용 그림책 선정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혁신교수법 경험이 실천적 지식형성에 미치는 영향 : 혁신교수법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
- Anthony Browne의 〈겁쟁이 윌리〉의 세계관 분석
- 영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수업환경조절전략 활용능력에 관한 연구
- 그림책 감상 활동에서 나타나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의 특성 연구
- 어린이집 평가제 평가지표에 근거한 보육서비스 품질향상을 위한 상호작용 기록화 컨설팅 방안 및 적용
- 반려식물 돌보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에 나타난 전쟁의 이미지 분석 : 2011~2021년 출판물을 중심으로
- 열린어린이집 운영 연차에 따른 교사와 원장의 운영 실태
- 전래동화 속 여자아이의 주체의 완성 : 백희나의 『연이와 버들도령』을 중심으로
- 영아와 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영아반 교육과정의 협력적 실행과정
- 자연물을 활용한 영아의 탐구 경험에 대한 연구
-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후 놀이에 관한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