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아 문학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2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12

영문명
Trends in Research on Infant and toddler's Literature: Focusing on Domestic Studies Published from 2000 to 2022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이보라 한종화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3권 제4호, 83~10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0년1월부터 2022년 8월까지발행된 국내 주요학술지에 개재된 영아문학 관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영아, 문학, 영아 문학, 그림책, 동화, 동시, 극 등의 검색어를 활용하여 1차 분석 대상연구를 수집하였고, 각 연구의 제목, 요약, 주제어, 본문을 검토하여 최종 99개의 연구를 분석 대상 연구로 선정하였다. 분석 대상 연구들은 연구 시기, 연구 방법, 연구 대상, 문학장르, 연구 유형 에따라 분석하였고, 영아를 대상으로 교육 효과를 검증한 연구의 경우, 통합 교과, 발달 영역으로 재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아 문학 관련 연구의 연도별 동향을 살펴보면, 2009년에 11편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016년과 2019년에 각 10편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5년 주기로 분석한 결과, 2018년 이후 33편, 2013~1017년 30편 순으로 나타나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연구 방법, 연구 대상, 문학 장르별 동향을 분석한 결과, 양적 연구, 영아 대상 연구, 동화를 중심으로 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연구 유형별 분석 결과, 교육 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문학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본 연구, 문학에 대한 독자인 영아의 반응을 알아본 연구, 인식과 현황을 알아본 연구, 문학 본질에 대한 연구, 동향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 효과 검증한 연구를 재분석한 결과, 음악 교과와 통합한 연구, 언어 영역의 발달 변화를 알아본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rends in research related to infant-toddler’s literatur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January 2000 to August 2022. To this end, articles were initially collected by using key word like infant-toddler, literature, infant-toddler’s literature, picture book, story book, poem, and drama. As a result, 99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is analysis after examining the research title, research summary, key word and research contents. For these articles, an analysis was performed about the research period, research method, research subject, literary genre and research type. In the case of research on education effect proof among research types, further analysis was done about integrated curriculum and development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was the heighest at 11 in 2009 while 10 articles were published in 2016 and 2019 each. By anlyzing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by a 5-year interval, it shows an increasing trend of 30 articles between 2013 and 2017 while 33 articles were published after 2018.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method, research subject and trend in literature genre, the largest number of research articles focused on quantitative research, toddlers and children’s story books.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type,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on education effect proof was highest, followed by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related variables, toddlers’ response as readers of literature, recognition and status, literature essence, and trends. As a result of the re-analysis about research on education effect proof, the largest number of articles were research on integration with a music curriculum and research on the analysis of development changes in language are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보라,한종화. (2022).영아 문학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2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 (4), 83-105

MLA

이보라,한종화. "영아 문학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2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4(2022): 83-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