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마을교육과정 편성·운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495
- 영문명
- An Autoethnography on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Experience of the School-Community Curriculum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은석현(Eun, Seock Hyeon) 이동성(Lee, Dong Sung)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9권 제4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마을교육과정 편성·운영 경험을 서술함으로써 현행 학교-마을교육과정의 이해와 개선을 위한 이론적 및 실천적 통찰을 얻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저자의 학교-마을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경험을 새로운 문화기술지(new ethnography)로 볼 수 있는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로 서술하였다.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로서의 나는 마을기반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의 편성 및 운영과 관련하여 헤게모니 논쟁을 경험하였다. 구체적으로, 나는 마을기반 교육프로그램의 체계성 논쟁에 휘말렸으며, 마을기반 교육프로그램 편성 및 운영에서 소진을 경험하였고, 학교와 마을의 결합방식에 대한 입장차로 갈등을 경험하였다. 둘째, 교사로서의
나는 마을기반 방과후학교와 돌봄교실을 운영하면서 역할 갈등을 경험하였다. 즉, 연구자로서의 나는 방과후학교와 돌봄교실에서 모호한 위치성과 상황성을 경험하였고, 방과후학교와 돌봄교실의 위탁운영으로 갈등을 경험하였다. 이 연구는 내부자로 볼 수 있는 교사의 관점에서 학교-마을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을 둘러싼 내적 과정과 역동성을 생생하게 재현한 측면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학교와 마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학교-마을교육과정의 질을 관리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학교-마을교육과정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사의 입장뿐만 아니라, 마을 주민들의 학교-마을교육과정 편성·운영 경험도 탐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obtain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s for understanding and improving the current school-community curriculum by describing the experiences of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chool-community curriculum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author s experience of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chool-community curriculum was described as an autoethnography that can be viewed as a new ethnography. The study results are briefly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as a researcher, I experienced the hegemony debate in relation to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community-based curriculum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Specifically, I was embroiled in the debate over the systemicity of the community-based education program, and I experienced exhaustion in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community-based education program, and experienced conflicts due to differences in opinions on the method of combining school and community. Secondly, as a teacher, I experienced role conflict while operating a community-based after-school and care classroom. In other words, as a researcher, I experienced ambiguous situatedness and positionality in after-school and care class, and experienced conflicts due to consignment management of after-school and caring class. This paper is worth a study in that it vividly reproduces the internal process and dynamics surrounding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school-community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a teacher who can be viewed as an insider.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organically connecting school and community and managing the quality of the school-community curriculum. In order to promo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chool-community curriculum, it will be necessary to explore not only the position of school teacher, but also the experience of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chool-community curriculum of village residents.
목차
I.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 경험이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태도의 매개효과
- 전라북도 광역형 혁신+학교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도
- 대학생 자기관리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성 연구
- 백워드 설계 기반 초등학교 국어과 단원 개발 사례 연구: 문화 향유 역량을 중심으로
- 일반계 고등학생의 교내·외 진로활동 만족도가 진로 인식을 매개로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 창의성과 제약간의 관계: 미술교육에 대한 시사점
- 중국 대학생의 성취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호흡장애 신생아 간호시뮬레이션 실습 적용 후 실습모듈 보완
- 학교-마을교육과정 편성·운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