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계 고등학생의 교내·외 진로활동 만족도가 진로 인식을 매개로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3
- 영문명
- The Effects of Satisfa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Activities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on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Career Recognition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구성우(Gu, Seong Woo) 김병주(Kim, Byoung Joo)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9권 제4호, 61~8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생의 교·내외 진로활동 만족도가 진로 인식을 매개로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내·외 진로활동 만족도가 높은 고등학생은 진로 인식 및 자기주도학습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 인식은 교내·외 진로활동 만족도와 자기주도학습 관계에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내·외 진로활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 인식 향상에 영향을 미치고, 향상된 진로 인식은 자기주도학습 향상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교내 진로활동 만족도가 교외 진로활동 만족도보다 진로 인식 향상에 더 많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계 고등학생의 교내·외 진로활동 만족도가 진로 인식을 매개로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atisfa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activities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on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career recogni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 satisfa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activities have relatively high career recogn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career recognition has been shown to be fu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activit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other words,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r satisfa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activities affects the improvement of career recognition, and the improved career recognition also affects the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Third, it was analyzed that satisfaction of internal career activities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career recognition improvement than satisfaction of external career activiti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article discussed the effects of satisfa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activities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on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career recognition.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 경험이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태도의 매개효과
- 전라북도 광역형 혁신+학교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도
- 대학생 자기관리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성 연구
- 백워드 설계 기반 초등학교 국어과 단원 개발 사례 연구: 문화 향유 역량을 중심으로
- 일반계 고등학생의 교내·외 진로활동 만족도가 진로 인식을 매개로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 창의성과 제약간의 관계: 미술교육에 대한 시사점
- 중국 대학생의 성취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호흡장애 신생아 간호시뮬레이션 실습 적용 후 실습모듈 보완
- 학교-마을교육과정 편성·운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