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대학생의 성취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93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for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고운정(Gao, Yun Jing) 이석열(Lee, Suk Yeol)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9권 제4호, 125~14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에서 널리 받아들여진 성취동기 이론을 적용하여 중국 대학생 성취동기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국 4년제 종합대학교 대학생들이며, 중국 대학생 성취동기 척도의 개발을 위해 대학생 688명으로부터 자료가 수집되었다. 개발된 성취동기 척도의 요인과 문항 구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성취동기척도는 최종적으로 개인지향적 성공추구동기 9문항, 사회지향적 성공추구동기 9문항, 개인지향적 실패회피동기 10문항, 사회지향적 실패회피동기 8문항 등 네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체 문항 수는 총 36개였다. 성취동기 척도의 신뢰도 검증 결과, 4개 구성 요소의 Cronbach s α계수가 모두 기준치인 0.9 이상으로 나타나 매우 양호한 신뢰도를 가진 척도임을 확인되었다. 또한,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는 구인타당도,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거쳐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justify the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for Chinese college students by applying the widely accepted achievement motivation theory in Chin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at China s four-year universitie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688 university students to develop a measure of achievement motivation for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he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consisted of 4 sub-factors: 9 individual-oriented success-seeking motivation, 9 social-oriented success-seeking motivation, 10 individual-oriented failure-avoidance motivation, and 8 social-oriented failure-avoidance motivation.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was 36.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iability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the Cronbach s α coefficient of all four components was 0.9 or higher, confirming that it was a very good measure of reliability.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was confirmed
through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 경험이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태도의 매개효과
- 전라북도 광역형 혁신+학교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도
- 대학생 자기관리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성 연구
- 백워드 설계 기반 초등학교 국어과 단원 개발 사례 연구: 문화 향유 역량을 중심으로
- 일반계 고등학생의 교내·외 진로활동 만족도가 진로 인식을 매개로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 창의성과 제약간의 관계: 미술교육에 대한 시사점
- 중국 대학생의 성취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호흡장애 신생아 간호시뮬레이션 실습 적용 후 실습모듈 보완
- 학교-마을교육과정 편성·운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자아존중감의 차이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사고 및 문제해결력이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영아 그림책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