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워드 설계 기반 초등학교 국어과 단원 개발 사례 연구: 문화 향유 역량을 중심으로
이용수 358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Unit Development Based on Backward Design: Focusing on Cultural Enjoyment Competency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이미정(Lee, Mi Jung) 이동성(Lee, Dong Sung)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9권 제4호, 81~10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역량과 백워드 설계를 기반으로 국어과에서의 문화 향유 역량 함양을 위한 단원 개발의 과정과 결과를 예시하는 데 있다.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역량 및 백워드 설계 기반 교육과정(단원)을 개발하기 위해 문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즉,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과 백워드 설계 기반 교육과정 개발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결합함으로써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기반한 백워드 설계를 통합하였다. 둘째, 이 연구는 문화 향유 역량 증진을 위한 단원을 개발하기 위해 백워드 설계의 필요성과 역량중심 교육 요소를 도출하여 연결하였다. 셋째, 이 연구는 역량 및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반한 단원 개발의 결과와 적용상의 유의점을 도출하였다. 특히, 역량 및 백워드 설계의 통합을 기반으로 백워드 설계의 템플릿을 변형하여 단원 개발의 과정과 결과를 3단계로 예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실현하고,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과 전문성을 신장하는 데 경험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llustrate the process and results of unit development for the cultivation of cultural enjoyment competency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based on competency and backward design.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briefly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this paper attempted document analysis to develop a curriculum(unit) based on competency and backward desig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backward design-based curriculum development were integrated by analyzing and combining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development of a backward design-based curriculum. Secondly, the necessity of backward design and competency-oriented education elements were derived and connected to develop a unit for enhancing cultural enjoyment competency. Thirdly, this paper derived the results of unit development based on the competency and backward design model and important points in application. In particular, based on the integration of competency and backward design, the template of the existing backward design was transformed to illustrate the process and results of unit development in three steps.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provide empirical data for realiz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enhancing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and professionalis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 경험이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태도의 매개효과
- 전라북도 광역형 혁신+학교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도
- 대학생 자기관리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성 연구
- 백워드 설계 기반 초등학교 국어과 단원 개발 사례 연구: 문화 향유 역량을 중심으로
- 일반계 고등학생의 교내·외 진로활동 만족도가 진로 인식을 매개로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 창의성과 제약간의 관계: 미술교육에 대한 시사점
- 중국 대학생의 성취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호흡장애 신생아 간호시뮬레이션 실습 적용 후 실습모듈 보완
- 학교-마을교육과정 편성·운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