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호흡장애 신생아 간호시뮬레이션 실습 적용 후 실습모듈 보완
이용수 138
- 영문명
- Supplement the practice module after applying the practice of nursing simulation for newborns with respiratory disabilities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김효연(Kim, Hyo Youn)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9권 제4호, 105~12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호흡장애 신생아 간호시뮬레이션 실습을 진행하면서 효과성과 연구참여자의 경험분석을 확인하여 시뮬레이션 실습모듈을 수정·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 첫째, 간호학생들의 간호지식과 실습만족도가 향상되었다. 둘째, 실습 시 가장 어려웠던 점은 모니터 해석 및 적용이었으며, 시뮬레이션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경험분석 결과는 5개 중심주제와 12개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처음 접하는 낯선 환경의 두려움이 있었지만, 시뮬레이션 실습기회로 실제 현장을 대신하며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반면 준비가 미비했던 실습전략의 아쉬움을 토
로하며 시뮬레이션 실습의 더 나은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에 수정·보완된 호흡장애 신생아 간호시뮬레이션 실습모듈을 완성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simulation practice module by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and experience analysi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hile conduc ting nursing simulation practice for newborns with respiratory disabilities to nursing studen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irst, nursing students nursing knowledge and practice satisfaction were improved. Second, the most difficult point during practice was monitor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and the orientation education requirement for simulation was high.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5 central themes and 12 sub-topics were derived. Although the students were afraid of the unfamiliar environment they encountered for the first time, they confirmed a positive change by drawing an experience instead of the actual field as an opportunity for simulation practice. On the other hand, it presented a better direction for simulation practice by expressing the regret of the practice strategy, which was insufficiently prepared. Accordingly, it was possible to complete the modified and supplemented practice module for nursing simulation for newborns with respiratory disabilities.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 경험이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태도의 매개효과
- 전라북도 광역형 혁신+학교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도
- 대학생 자기관리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성 연구
- 백워드 설계 기반 초등학교 국어과 단원 개발 사례 연구: 문화 향유 역량을 중심으로
- 일반계 고등학생의 교내·외 진로활동 만족도가 진로 인식을 매개로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 창의성과 제약간의 관계: 미술교육에 대한 시사점
- 중국 대학생의 성취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호흡장애 신생아 간호시뮬레이션 실습 적용 후 실습모듈 보완
- 학교-마을교육과정 편성·운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