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위험 유아의 선별 및 진단 의뢰과정 실태와 유아교사의 인식

이용수  357

영문명
The Actual Situation of Disorder Diagnosis’s Referral Process and Screening for At-risk Children and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박체희(Park, Che-Hui) 황순영(Hwang, Soon-Young) 차세진(Cha, Se-Jin)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1권 제1호, 363~38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장애위험 유아를 선별하여 장애 진단에 의뢰하는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여, 조기선별 및 조기중재를 지원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부산, 경남지역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유아교사 1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위험 유아의 장애 진단 의뢰과정 실태를 살펴보면, 과반수 이상의 유아교사들은 평균 1~2명의 장애위험 유아로 생각한 유아를 지도한 경험이 있었으나 선별도구를 모르거나 사용하지 않았고, 자문할 지원체계가 없거나 모른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유아의 문제를 학부모에게 알 거나 협조 요청을 한 유아교사는 문제는 인정하지만 도움을 원치 않거나 문제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등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장애위험 유아의 장애 진단 의뢰과정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장애 진단 의뢰과정에서 학부모에게 협조 요청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교사 스스로 장애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장애위험 유아를 선별하는 과정에서도 교사의 전문적 지식이 부족하여 장애위험 유아로 과소진단 또는 과잉진단의 우려가 방해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부모와의 갈등을 우려하여원장 및 관리자에게 협조 요청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으로 유아교사는 장애위험 유아의 문제행동 원인, 장애 영역별 특성에 대한 정보제공 및 교육 지원이 필요하고, 학부모는 장애 선별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수용적인 태도가 요구되며, 유아교육기관 측면에서는 특수교사 배치를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장애 진단 의뢰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여 장애위험 유아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장애 진단 의뢰과정의 지원체계를 확대하고, 예비교사부터 장애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served as foundational data to support early screening and early intervention by investigating the facts and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questing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y for disability diagnosi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163 early childhood teachers at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Busan and Gyeongnam.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actual situa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process of requesting the diagnosis of the disorder of at-risk children, the major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experience teaching infants with an average of 1 or 2 at-risk children, but they didn’t know or use screening tools. Most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don‘t know or don’t have a support system to consult. In addition, a majority of respondents said that teachers who informed parents about their children s problems or asked for help expressed negative responses, such as parents not acknowledging their children s problems. Second, According to the aware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process of requesting the diagnosis of the disorder of at-risk children, the most common answer was that the teachers lacked accurate knowledge about the disorder. The most common opinion was that it was difficult to ask the director and manager for cooperation because of conflicts with parents. Parents need to improve their perception of disorders screening and acceptance attitude, and that it is most desirable to pla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s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requesting disorder diagnosis were identified 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o improve the awareness of at-risk children, to acquire accurate knowledge of disorder from preliminary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체희(Park, Che-Hui),황순영(Hwang, Soon-Young),차세진(Cha, Se-Jin). (2021).장애위험 유아의 선별 및 진단 의뢰과정 실태와 유아교사의 인식. 교육혁신연구, 31 (1), 363-386

MLA

박체희(Park, Che-Hui),황순영(Hwang, Soon-Young),차세진(Cha, Se-Jin). "장애위험 유아의 선별 및 진단 의뢰과정 실태와 유아교사의 인식." 교육혁신연구, 31.1(2021): 363-3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