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다문화교육과 다문화대안학교 관련연구 동향분석
이용수 374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in Korea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정연숙(Cheong, YeunSook) 사이노오 아카네(Sainoo Akane) 김영환(Kim, YoungHwan)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1권 제1호, 187~20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 아동 및 청소년들을 위해 다문화교육과 다문화대안학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이를 위해 RISS의 학술지를 중심으로 선행연구자들의 연구동향을 분석해 현 상황과 앞으로의 지향점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학술연구정보서비스 RISS에서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대안학교’를 핵심어로 하여 국내학술논문의 검색을 실시하였다. 총 12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분석을 실행한 도구는 Microsoft사의 워크시트인 Excel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대안학교를 주제로 한 연구는 2016년 이후 서서히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다문화교육을 담당할 교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및 학생에 대한 연구 14편(11.5%), 학교 및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10편(8.2%), 고등학교 및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6편(4.9%)에서 알 수 있듯이 고등학교와 학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해 보인다. 이 외에도 교재개발 및 분석, 다문화교육의 방법 연구 그리고 평가 연구가 빈약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현장에서의 실태· 현황 파악의 부족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 마련의 결여를 해소하기 위해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대안학교를 주제로 한 연구와 교육현장에서 학습자들을 촉진할 교사에 대한 연구가 좀 더 필요하며 또한 고등학교와 학생에 대한 연구, 교재개발 및 분석, 다문화교육의 방법 연구 그리고 평가 연구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20년 상반기까지의 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기에 이후 연구물에 대한 부분은 추가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considered the ro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to be important for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To this end, the research trend of preceding researchers was analyzed centering on RISS journal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Method: This study conducted a search of domestic academic papers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as the core words of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and conducted research on a total of 122 papers. The tool for performing the analysis was Microsoft s Excel . Results: First, it can be seen that stud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have gradually decreased since 2016. Second, research on teachers who will be in char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Third, as can be seen from 14 studies on elementary school and students (11.5%), 10 studies on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8.2%), and 6 studies on high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4.9%). There seems to be a lack of research on the stud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and analysis of textbooks, research on metho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research on evaluation remained at a meager level. Conclusion: In order to resolve the lack of grasping the actual situation and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field and the lack of preparation of measures to improve it, research on the subj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and more research on teachers who will promote learners in the educational field are needed. Also it was found that research on high school and students, development and analysis of textbooks, research on metho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research on evaluation were insufficient. Since this study was the target of analysis from 2006 to the first half of 2020,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add additional research materia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동향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팀기반 앙트러프러너 양성프로그램 설계원리 개발연구
- 대안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교육과정 자율화의 방향
- 국내 다문화교육과 다문화대안학교 관련연구 동향분석
- 장애위험 유아의 선별 및 진단 의뢰과정 실태와 유아교사의 인식
- 장애전문어린이집 운영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에 관한 원장의 인식
- 백워드 매핑에 기반한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구
- 중학교 남학생의 장애학생 또래도우미 활동 경험
-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발달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교육과정의 운동성 관점에서 살펴본
-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
- 유아·놀이중심 교육의 시대에 자율적 교사-되기를 위한 니체 철학의 함의
- 중국 안지놀이(Anji Play)의 특징 및 한국의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에 주는 함의 탐색
- 대학교육혁신의 관점에서 효과적인 대학수업의 특성 연구
- 교육의 사회적 책임 의미 탐색
- 부정적 정서행동과 또래관계의 종단적 관계 분석
- Mucciaroni의 이익집단 위상변동 모형을 활용한 자율형사립고의 정책 변동 분석
- 시장주의적 국가교육과정 거버넌스의 등장과 확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일상생활활동 교육과정과 연계한 지체중복장애학생의 구강관리 지원: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