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팀기반 앙트러프러너 양성프로그램 설계원리 개발연구
이용수 52
- 영문명
- Development Study on Team based Entrepreneur Education Program Design Principles: Focuse on Cooperative Member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안상준(An, Sang-Joon) 박수홍(Park, Su-Hong) 강문숙(Kang, Mun-Suk)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1권 제1호, 251~27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협동조합 구성원을 위한 팀기반 앙트러프러너(teampreneur) 양성 프로그램의 설계원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먼저 프로그램의 핵심가치와 설계원리를 도출하고, 전문가 형성평가를 통한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개발연구의 절차를 따르되 세부적으로 문헌 및 사례분석을 통하여 설계원리의 초안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 형성평가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최종의 프로그램 설계원리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팀기반 앙트러프러너 양성 프로그램의 핵심가치가 도출되었다. 둘째, 프로그램 설계원리는 세 가지의 범주와 13가지 설계원리 초안이 도출되었다. 셋째, 전문가 형성평가를 통해 최종의 프로그램의 설계원리를 도출하였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협동조합 구성원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육현장에서 팀기반 앙트러프러너십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실효성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팀 활동을 전제로 하여 개발되었으므로 점차 늘어나고 있는 팀 기반 앙트러프러너십 역량강화 교육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design principle of the team based entrepreneur education program for cooperative member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 task is to first derive the core values of the program for cooperative members, and then derive the design principles of the program to conduct validity verification. Method: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the overall design process was followed, but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cedure, a draft of the design principle was devised through the literature and case studies.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validity, after receiving an expert formation evaluation, it was amended and supplemented to develop the final design principle of the program. Results: First, cooperatives should pursue social values and members should pursue them. Second, we must have a spirit of service and a sense of mission to our members. Third, we must become experts who acquire knowledge and know how to use it. Fourth, cooperatives must also do their best to generate profits because they must also achieve economic value. Fifth,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cooperative relationship-building skills by trusting and relying on each other. Sixth, it develops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through communication with various people through team-based interaction. Seventh, it is necessary to take an interest in and consider the thoughts and values of other members with the attitude of listening. Eighth, set goals so that the actions the team seeks are aligned with the organization s priorities and goals. Ninth,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through a change of ideas with a challenging spirit is required. Tenth, learning that leads to practice is necessary and social change can be pursued through this. Eleventh, in order to achieve business goals, each person needs to plan and try to learn to improve his/her own abilities. Twelfth, despite the ordinary, there is always a need to approach with a new perspective with a sense of problem. Thirteenth, we must develop our ability to overcome difficulties through innovation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Conclusions and Sugg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r cooperative members. In addition, because it was developed based on team activitie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the expanding team uni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팀기반 앙트러프러너 양성프로그램 설계원리 개발연구
- 대안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교육과정 자율화의 방향
- 국내 다문화교육과 다문화대안학교 관련연구 동향분석
- 장애위험 유아의 선별 및 진단 의뢰과정 실태와 유아교사의 인식
- 장애전문어린이집 운영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에 관한 원장의 인식
- 백워드 매핑에 기반한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구
- 중학교 남학생의 장애학생 또래도우미 활동 경험
-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발달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교육과정의 운동성 관점에서 살펴본
-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
- 유아·놀이중심 교육의 시대에 자율적 교사-되기를 위한 니체 철학의 함의
- 중국 안지놀이(Anji Play)의 특징 및 한국의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에 주는 함의 탐색
- 대학교육혁신의 관점에서 효과적인 대학수업의 특성 연구
- 교육의 사회적 책임 의미 탐색
- 부정적 정서행동과 또래관계의 종단적 관계 분석
- Mucciaroni의 이익집단 위상변동 모형을 활용한 자율형사립고의 정책 변동 분석
- 시장주의적 국가교육과정 거버넌스의 등장과 확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