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
이용수 143
- 영문명
- A Study on Social Perception of Process-Based Evaluation Using Big Data: Focused on Keyword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서원석(SUH, Won-Suk) 원효헌(WON, Hyo-Heon) 김석우(KIM, Suk-Woo)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1권 제1호, 113~13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과정중심+평가를 검색어로 하여 최근 5년간 뉴스, 소셜미디어의 온라인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수집된 데이터는 1차, 2차의 정제 과정을 거쳐 상위 공출현 단어빈도를 기반으로 주요 단어 50개를 추출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을 위해서 Textom을 통해 키워드 빈도분석 및 메트릭스 데이터를 추출하였고, UCINET, NETDRAW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분석 및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연구결과 첫째, 과정중심평가와 동시에 출현한 키워드 중 많이 등장한 키워드는 평가, 교육과정, 학생, 수업, 연구 순이었다. 둘째, 연결중심성, 인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는 평가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과 성장 키워드는 과정중심평가 전체네트워크에서 높은 밀도로 영향력이 있는 키워드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내용, 교육현장, 현재집중, 미래지향적 요소들에 집중적으로 연결된 군집이 형성되었다. 논의 및 결론: 따라서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통해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으며, 교육현장에서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개선사항과 향후 교육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perception of process-oriented evaluation using big data. For this purpose, online text data of news and social media were collected about past 5 years using process-oriented + evaluation. Method: The collected data went through the 1st and 2nd refining process, and 50 main wor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number of high-level co-occurrence words. For data analysis, keyword frequency analysis and metrics data were extracted through Textom, and network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UCINET and NETDRAW.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keywords were evaluation, curriculum, student, class, and research. Second, the keyword with the highest connection-centeredness, adjacency-centeredness, and mediation-centeredness was evaluated. Third, curriculum and growth were keywords that had high density and influence in the entire network of process-oriented evaluation. Fourth, clusters intensively connected to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field, present concentration, and future-oriented elements were formed.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social perception of process-based evaluation through big data, and in practical terms. Conclusion: This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in establishing future educational policies such as difficulties and activation plans of process-based evalu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팀기반 앙트러프러너 양성프로그램 설계원리 개발연구
- 대안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교육과정 자율화의 방향
- 국내 다문화교육과 다문화대안학교 관련연구 동향분석
- 장애위험 유아의 선별 및 진단 의뢰과정 실태와 유아교사의 인식
- 장애전문어린이집 운영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에 관한 원장의 인식
- 백워드 매핑에 기반한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구
- 중학교 남학생의 장애학생 또래도우미 활동 경험
-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발달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교육과정의 운동성 관점에서 살펴본
-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
- 유아·놀이중심 교육의 시대에 자율적 교사-되기를 위한 니체 철학의 함의
- 중국 안지놀이(Anji Play)의 특징 및 한국의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에 주는 함의 탐색
- 대학교육혁신의 관점에서 효과적인 대학수업의 특성 연구
- 교육의 사회적 책임 의미 탐색
- 부정적 정서행동과 또래관계의 종단적 관계 분석
- Mucciaroni의 이익집단 위상변동 모형을 활용한 자율형사립고의 정책 변동 분석
- 시장주의적 국가교육과정 거버넌스의 등장과 확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