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안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교육과정 자율화의 방향

이용수  757

영문명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urriculum autonomy through alternative school curriculum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김소영(Kim, So Young)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1권 제1호, 137~15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현대 사회는 획일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개인의 적성이나 진로에 맞는 개별화되고 다양화된 교육의 실현을 위한 방안으로 교육과정 자율화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에 일반 학교와 차별화된 교육과정과 운영형태를 지닌 새로운 방식의 학교인 대안학교 교육과정을 통하여 교육과정 자율화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교육과정 자율화의 의미와 공교육체제인 학력 인정 대안학교의 유형, 유형별 관련 법령 및 규정을 탐색하였다. 각 종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입학 대상별로 유형을 분류하여, 유형별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과 운영의 측면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대안학교 교육과정 편성 측면으로는 첫째, 학교의 특성이 반영된 교과가 편성되어 있다. 둘째,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비중은 학생의 흥미와 적성에 따라 자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셋째, 학생의 진로 탐색에서 상급 학교의 진학도 선택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다. 대안학교 교육과정 운영 측면으로는 첫째, 교과 활동과 비교과 활동의 연계를 활용하고 있다. 둘째, 다양한 교과를 개설하여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확대하고 있다. 셋째, 다양한 기관과의 협약 등을 통해서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구축하여, 협력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논의 및 결론: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교육과정 실행주체들의 협력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입시에서 전문교과나 비교과 활동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사회 요구를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형태로 교과의 추가․신설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autonomy as a way to realize diversified education according to students aptitudes and career paths in modern society. Therefore, we want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urriculum autonomy through an alternative school curriculum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ordinary schools. Method: The meaning of curriculum autonomy and the types of alternative schools that are recognized as a public education system, an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for each type were explored. In order to analyze the curriculum of miscellaneous schools, we classified the types according to the enrollment target and looked at the aspects of organizing and managing the school curriculum for each type. Results: In terms of alternative school curriculum composition, first of all, subject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are arranged. Second, the ratio between regular subjects and specialized subjects is managed autonomously according to students interests and aptitudes. Third, the curriculum is structured so that students can choose to go to college in their career exploration. In terms of operation of the alternative school curriculum, first, the linkage between the curriculum and comparative activities is utilized. Second, we opened a variety of subjects to broaden our students choices. Third, through agreements with various organizations, we are building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and building a foundation for cooperation. Conclusion: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course autonomy, it is first necessary to build a foundation for the cooperation of curriculum implement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so that specialized subjects and comparative activitie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ntrance examina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add and establish new subjects in a way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in the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교육과정 자율화의 의미
Ⅲ. 대안학교 유형과 유형별 관련 법령 및 규정
Ⅳ. 대안학교 현황
Ⅴ. 각종학교 현황
Ⅵ. 각종학교 교육과정
Ⅶ. 결론 및 교육과정 자율화의 방향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영(Kim, So Young). (2021).대안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교육과정 자율화의 방향. 교육혁신연구, 31 (1), 137-155

MLA

김소영(Kim, So Young). "대안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교육과정 자율화의 방향." 교육혁신연구, 31.1(2021): 137-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