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안지놀이(Anji Play)의 특징 및 한국의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에 주는 함의 탐색
이용수 146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f characteristics of Anji Play in China and Korea’s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ication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오범(Wu Fan) 김은주(Eunju,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1권 제1호, 209~23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대표적인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인 안지놀이의 특징을 놀이특징 및 운영특징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의 놀이중심 유아교육 실천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연구방법: 안지놀이를 소개하고 있는 중국 및 국외 논문 및 문헌 자료를 수집하여 내용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놀이특징을 살펴본 결과, 안지놀이 유아원은 유아에게 충분한 놀이시간을 주고 다양한 공간의 통합을 이루며 무한의 조합이 가능한 인공재료 및 자연재료를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유아들이 경계를 넘어 마음껏 놀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운영특징을 살펴본 결과, 교사교육 면에서는 교사가 놀이에 대한 관찰과 기록을 최대화하고 개입은 최소화하도록 하고, 부모교육 면에서는 부모들에게 자신의 아동기 놀이기억을 회상시키고 유아원에서 직접 놀이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유아의 놀이를 공감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정부 지원 면에서는 유아원을 통합관리하면서 유아교육의 발전이 지역 경제, 의료 등 지표와 함께 하도록 평가하며 유아교육의 발전을 이끌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중국 안지놀이의 특징에서 한국의 놀이중심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를 찾아보자면, 유아교육기관은 유아에게 놀이가 지속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해줌과 동시에 공간에 대한 고민과 함께 다양한 공간을 만들어주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위험’을 감수하는 놀이자료 제공도 의미있게 고려해볼 부분이다. 교사에게는 다양한 형태의 유아 놀이지원에 대한 교육과 지속적이고 체계화된 현직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부모에게는 실제 놀이에 푹 빠질 기회와 자녀 놀이를 지켜보는 경험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제대로 정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관심과 지원이 무엇보다 필요함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Anji Play, a representative “play” bas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 China, to provide suggestions for Korea s early childhood education.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a literaure review was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to support children’s play Anji Play gave enough play time, integrated various spaces, and provided many play materials that can be combined indefinitely. Second, teachers maximize observations and records of play, and minimized interventions. Parents were reminded of their childhood play memories, given the opportunity to play in the nursery, and empathized with children’s play. And the Anji County government has innovatively implemented integrated management of nurseries, evaluating the level of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gether with the local economy and other indicators, thus leading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fficient play time, while creating various spaces for children to play more actively, and to provide risky play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arental education that provides parents with the opportunity to fall in love with real play and watch their children s pla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expect to expand financial support along with their continued interes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팀기반 앙트러프러너 양성프로그램 설계원리 개발연구
- 대안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교육과정 자율화의 방향
- 국내 다문화교육과 다문화대안학교 관련연구 동향분석
- 장애위험 유아의 선별 및 진단 의뢰과정 실태와 유아교사의 인식
- 장애전문어린이집 운영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에 관한 원장의 인식
- 백워드 매핑에 기반한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구
- 중학교 남학생의 장애학생 또래도우미 활동 경험
-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발달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교육과정의 운동성 관점에서 살펴본
-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
- 유아·놀이중심 교육의 시대에 자율적 교사-되기를 위한 니체 철학의 함의
- 중국 안지놀이(Anji Play)의 특징 및 한국의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에 주는 함의 탐색
- 대학교육혁신의 관점에서 효과적인 대학수업의 특성 연구
- 교육의 사회적 책임 의미 탐색
- 부정적 정서행동과 또래관계의 종단적 관계 분석
- Mucciaroni의 이익집단 위상변동 모형을 활용한 자율형사립고의 정책 변동 분석
- 시장주의적 국가교육과정 거버넌스의 등장과 확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