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과정의 운동성 관점에서 살펴본

이용수  211

영문명
「2019 National Nuri Curriculum」 Understanding through Movement of the Curriculum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손연주(Son, Yeon Ju) 임부연(Lim, Boo-Yeun)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1권 제1호, 301~33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교육과정은 자연문화와 함께 얽히며 항상 운동하고 변화하며 지속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이와 같은 ‘운동성’을 중심으로 새롭게 해석하고 이해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관련 문헌의 반복적 읽기와 해석을 통해 연구자의 ‘교육과정 운동성’이라는 관점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바라보는 해석학적 글쓰기를 실천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운동성의 층위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시대적, 역사적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시화되는 거시적 운동성과 실제 교육과정 실행의 운동성, 학습자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사유의 운동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 번째 거시적인 교육과정의 전체적 운동성의 흐름은 ‘교육과정개발과 이해를 넘어 생성으로’, ‘결핍의 교육과정에서 욕망으로’, ‘언어적 전회에서 물질적 전회로의 횡단으로’ 이행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2019 개정 누리과정 또한 이와 같은 운동성의 맥락 속에서 변화를 맞이하고 운동하고 있었다. 먼저, 고시문은 열린 텍스트이자 살아있는 물질로서 ‘대강화’를 통해 현장의 실제 운동성과 함께 얽히고 있었다. 교사 또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이 갖는 운동성과 만나 함께 변화하며 행위 주체성을 실천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역할 변화를 간략히 논해 보았다. 유아중심 놀이중심의 개정 누리과정에서 학습자의 위치성은 자신의 생명적 운동성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생기적 방향으로 변화하였음을 살펴보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개정 누리과정을 운동성에서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함과 동시에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실행력을 높이고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살아나는 교육과정을 생성적 운동의 입장으로 긍정하였음에 그 가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curriculum is intertwined with the natural-culture and is always moving, changing and continu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ewly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2019 National Nuri Curriculum centering on movement .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takes the form of hermeneutical writing in the form of an essay. Results: First, the level of movement was divided into thre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se were the macroscopic motility over time, the motility of the curriculum execution, and the motility that occurs inside the learne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tility of the curriculum is transitioning to becoming, desire, and materiality . National Nuri Curiculum was also changing and moving in this way. The text of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becomes slimmer, and teachers and learners have autonomy, so that the curriculum exhibits materially vital-movement. Conclusion: This study is valuable in suggesting a new perspective on the ‘National Nuri Curiculum’ from motility.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posing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the implementation competency of curriculum and vitality of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목차

Ⅰ. 교육과정 운동성의 장을 열며
Ⅱ. 연구방법: 해석학적 글쓰기
Ⅲ. 교육과정의 운동성
Ⅳ.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운동성
Ⅴ.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생기적 운동성을 향해 나아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연주(Son, Yeon Ju),임부연(Lim, Boo-Yeun). (2021).교육과정의 운동성 관점에서 살펴본. 교육혁신연구, 31 (1), 301-333

MLA

손연주(Son, Yeon Ju),임부연(Lim, Boo-Yeun). "교육과정의 운동성 관점에서 살펴본." 교육혁신연구, 31.1(2021): 301-3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