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위험감수풍토가 급진적 창의성과 점진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53

영문명
The effect of risk-taking climate on radical creativity and incremental creativity : Focusing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정석(Suk, Jung) 홍아정(Ah Jeong, Hong)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39권 제5호, 47~7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위험감수 풍토가 급진적 창의성과 점진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관계 속에서 창의적 과정몰입과 외부 네트워킹행동의 매개효과와 리더의 위험감수경향에 따른 변인간의 영향관계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기업 구성원 3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한 결과 위험감수 풍토는 급진적 창의성에만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위험감수 풍토와 급진적, 점진적 창의성 사이의 관계를 창의적 과정몰입과 외부 네트워킹행동이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리더의 위험감수 경향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리더의 위험감수 경향이 낮은 집단에서는 위험감수 풍토와 급진적 창의성간에 관계가 없었으며, 위험감수 풍토가 외부 네트워킹행동을 통해 급진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또한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급진적, 점진적 창의성 발현에 공통적으로 구성원의 적극적인 창의적 인지과정 활용과 외부 탐색전략이 필요하며, 특히 급진적 창의성 발현을 위해서는 조직의 위험감수 풍토와 리더의 위험감수 경향이 뒷받침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위험감수 풍토 조성과 리더의 적정수준 위험감수 독려를 위한 HR부서의 역할을 제시하고 구성원이 창의적 과정몰입과 외부 네트워킹행동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급진적, 점진적 창의성 발현을 위한 환경 마련과 구성원 역량개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risk-taking climate on radical creativity and incremental creativity and to identify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process engagement,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and moderating effect of managerial risk-taking. 370 employe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used structural equation to analyze the data. Following are the result of study: First risk-taking climate had a positive impact only on radical creativity and creative process engagement,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mediate the relationship of risk-taking climate and radical, incremental creativity. Second, on low managerial risk-taking group,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taking climate and radical creativity and mediating effect of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These results mean that active creative cognitive processes and external exploration strategies are required in common to express radical and gradual creativity. And organization s risk-taking climate and the leader s risk-taking tendency must be supported for radical creativ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연구결과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석(Suk, Jung),홍아정(Ah Jeong, Hong). (2020).위험감수풍토가 급진적 창의성과 점진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39 (5), 47-75

MLA

정석(Suk, Jung),홍아정(Ah Jeong, Hong). "위험감수풍토가 급진적 창의성과 점진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39.5(2020): 47-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