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기 경력자(Mid-career)의 전직지원서비스 참여 특성과 고용가능성 인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820
-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s of Outplacement Program Participation and the Perception of Employability in Mid-career Employees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문한나(Hanna Moon) 최영섭(Youngsup Choi) 홍성표(Sungpyo Hong)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39권 제5호, 123~14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기 경력자의 전직지원 서비스 참여 특성을 분석하고, 직업특성과 전직지원서비스의 효과성에 따라 고용가능성 인식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계, 자동차, 조선, 금융, 바이오 산업의 전직 예정자에 대해 서비스 요구 내용, 재취업 관련 희망 사항, 고용가능성을 조사한 자료(297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기 경력자들의 서비스 요구를 파악한 결과, 참여 목적 중 재취업의 비중이 높은 가운데, 전직서비스 참여자들의 기업규모에 따라 참여 목적에 차이가 있었고, 프로그램 효과성 정도에 대한 인식도 차이가 있었다. 둘째, 중기 경력자의 재취업을 위해 수용 가능한 임금수준, 희망 재취업 유형, 재취업 예상기간, 주요 고려요인 및 애로사항을 분석한 결과, 비자발적으로 퇴직하는 경우 기존 임금 또는 그 이상의 임금의 수준을 희망하는 비율이 자발적 퇴직자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비자발적 퇴직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이러한 경향성이 지속되었다. 셋째, 중기경력자가 경험한 전직지원서비스가 효과적이었다고 인식한 경우, 고용가능성에 대한 인식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기 경력자의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직기간동안 자신의 경력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적극적인 커리어 탐색을 통한 경력탄력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체계적이고 연속적인 전직서비스를 위한 정책 제언이 마지막으로 제시되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outplacement services for employees in mid-career, and used response data (297 copies) for prospective job changers to determine how perceptions of employment possibility differ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s and re-employ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outplacement servic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grasping the service needs of employees in mid-career, the percentage of re-employment was high among the responses of purpose of participation, statistical difference existed in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company size of the former service participants.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in perception of the degree of program effectivenes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ceptable wage-level required for re-employment of employees in mid-career, desired re-employment type, expected period of re-employment, major factors to consider and difficulties in re-employment, more than the existing wage and 80% of the existing wage are desired in the case of involuntary retirement. The percentage of the aforementioned ca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voluntary retirees, and this tendency persisted as the age was younger. Third, when the job change support service experienced by employees in mid-career was recognized as effective, the result was positively significant in recognition of employability.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employability of employees in mid-career,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ir career identity during the tenure and increase career resilience through active career exploration, and practical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thi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험감수풍토가 급진적 창의성과 점진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RP(Rapid Prototype) 개발 방법론을 활용한 업·직종별 중장년 생애경력설계 프로그램 개발
- 직업인용 일 자유의지 척도 타당화 연구
- 블루칼라 및 연관직종 간 이동 패턴 분석
-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 유형에 따른 진로개발역량의 차이 분석
-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개인-직무 적합성이 경력 몰입에 미치는 영향
- 대졸 청년취업자의 직무불일치, 지각된 스트레스, 직장만족도, 비인지 역량 인식 간의 구조적 관계
- 중기 경력자(Mid-career)의 전직지원서비스 참여 특성과 고용가능성 인식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