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개인-직무 적합성이 경력 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48
- 영문명
- The Moderating and Conditional Effect of Work-Learning Dual Program Completer’s Kaleidoscope Career At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Job Fit and Career Commitment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김대영(Kim, Daeyoung) 이수영(Lee, Suyoung)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39권 제5호, 23~4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개인-직무 적합성이 경력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만화경 경력 태도에 의한 조건부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2018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 및 중소기업 초기 경력자 경력개발 현황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김대영 등, 2018)에서 수집된 자료 중 일학습병행 훈련과정을 이수한 재직근로자들의 응답 자료 380개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개인-직무 적합성, 경력 몰입, 만화경 경력 태도는 상호 정적인 관계였다. 둘째, 개인-직무 적합성은 경력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만화경 경력 태도는 개인-직무 적합성이 경력 몰입에 미치는 정(+)의 효과를 강화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만화경 경력 태도가 한 단위(1점) 증가할 때, 개인-직무 적합성이 경력 몰입에 미치는 효과는 약 0.133씩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조건부 효과는 표본의 99.2%에서 유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학술적 논의와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들의 경력개발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kaleidoscope career attitude(KC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job fit(PJF) and career commitment(CC). For doing so, 380 data collected from Kim et al.(2018), which were respondents completed the work-learning dual program, were used for testing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JF, CC, and KCA had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PJF had positive effect on CC. Third, KCA ha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JF and CC. When the KCA increases one point, the effect of PJF on CC increases by about 0.133 point. Based upon these results, this study derives some theoretical discussions,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career development for work-learning dual program completer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고찰 및 가설 설정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가설 검증 결과
Ⅴ.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험감수풍토가 급진적 창의성과 점진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RP(Rapid Prototype) 개발 방법론을 활용한 업·직종별 중장년 생애경력설계 프로그램 개발
- 직업인용 일 자유의지 척도 타당화 연구
- 블루칼라 및 연관직종 간 이동 패턴 분석
-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 유형에 따른 진로개발역량의 차이 분석
-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개인-직무 적합성이 경력 몰입에 미치는 영향
- 대졸 청년취업자의 직무불일치, 지각된 스트레스, 직장만족도, 비인지 역량 인식 간의 구조적 관계
- 중기 경력자(Mid-career)의 전직지원서비스 참여 특성과 고용가능성 인식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