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 유형에 따른 진로개발역량의 차이 분석
이용수 428
- 영문명
- The Difference i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ccording to the Vocational Identity Status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 Latent Class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백민정(MinJung Baek) 성은모(Eunmo Sung) 권경아(KyungA Kwon) 유홍열(HongYeol Ryu)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39권 제5호, 173~19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청소년기의 다양한 진로 탐색 활동과 체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미래에 대한 설계를 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시켜 올바르고 긍정적인 정체감을 확립시키는 것은 개인의 행동과 미래를 결정하는 필수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지위를 분류하고 지위에 따라 진로개발역량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 분석을 위해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을 실시하였으며, 진로개발역량의 차이 분석을 위해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진로캠프교육에 참여한 628명의 전국 중학생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계층분석에 의한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는 유실, 혼미, 성취, 유예의 4개의 집단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의 비율은 혼미(36.8%). 성취(28.8%), 유예(18.9%). 유실(15.5%)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정체감 지위에 다른 진로개발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라 진로개발역량은 성취와 유예지위가 동질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집단으로 분류되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 유실지위가 높고, 마지막으로 혼미지위가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 특성에 따라 이론적 실천적 논의를 하였고, 향후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관련 위한 교육적 노력에 대한 몇 가지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classify the vocational identity statu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ccording to the vocational identity statu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28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vocational identity status of the subjects was analyzed using the Latent Class Analysis(LCA). Then, ANOVA was used to see the difference of their development compet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vocational identity statu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diffusion(36.8%)’, ‘achievement(28.8%)’, ‘moratorium(18.9%)’, and ‘foreclosure(15.5%)’. Seco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the groups related to vocational identity status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highly showed in the group of achievement and moratorium, followed by foreclosure, and diff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for career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vocational 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험감수풍토가 급진적 창의성과 점진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RP(Rapid Prototype) 개발 방법론을 활용한 업·직종별 중장년 생애경력설계 프로그램 개발
- 직업인용 일 자유의지 척도 타당화 연구
- 블루칼라 및 연관직종 간 이동 패턴 분석
-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 유형에 따른 진로개발역량의 차이 분석
-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개인-직무 적합성이 경력 몰입에 미치는 영향
- 대졸 청년취업자의 직무불일치, 지각된 스트레스, 직장만족도, 비인지 역량 인식 간의 구조적 관계
- 중기 경력자(Mid-career)의 전직지원서비스 참여 특성과 고용가능성 인식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