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졸 청년취업자의 직무불일치, 지각된 스트레스, 직장만족도, 비인지 역량 인식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496
- 영문명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Mismatch, Perceived Stress, 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Non-Cognitive Competence Experienced by Young Employees who Graduated from College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이효영(Hyo Young Lee)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39권 제5호, 77~9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졸 청년취업자의 직무불일치(교육불일치, 기술불일치, 전공불일치), 지각된 스트레스, 직장만족도, 비인지 역량 인식 간의 구조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18년 한국 청년패널(YP: Youth Panel)조사 12차 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졸업 청년취업자 2,832개의 표본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은 AMOS 23.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였으며, 최대우도법(ML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을 모형추정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모형 분석결과 청년취업자의 직무불일치, 지각된 스트레스, 직장만족도는 비인지 역량인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졸 청년취업자의 직무불일치와 비인지 역량 인식 사이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와 직장만족도는 부분 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불일치 유형이 지각된 스트레스, 직장만족도, 비인지 역량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과잉교육과 과잉기술은 지각된 스트레스와 비인지 역량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졸 청년취업자의 직무불일치와 변인 간의 관계를 통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mismatch (education mismatch, skill mismatch, major mismatch), perceived stress, 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non-cognitive competence experienced by young employees who graduated from college . Using the data from the 12th year of the 2018 Youth Panel (YP) survey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sample data of 2,832 young employees who graduated from college were used f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using AMOS 23.0,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was used as a model estimation metho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tructural model analysis, it was found that job mismatch, perceived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youth employed directly affect the perception of non-cognitive compete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mismatch and perception of non-cognitive competence of young employees who graduated from college,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type of job mismatch on perceived stress, 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non-cognitive competence, it was found that over-education and surplus skil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stress and non-cognitive competenc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mismatch and variables of young employees who graduated from colleg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험감수풍토가 급진적 창의성과 점진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RP(Rapid Prototype) 개발 방법론을 활용한 업·직종별 중장년 생애경력설계 프로그램 개발
- 직업인용 일 자유의지 척도 타당화 연구
- 블루칼라 및 연관직종 간 이동 패턴 분석
-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 유형에 따른 진로개발역량의 차이 분석
-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의 개인-직무 적합성이 경력 몰입에 미치는 영향
- 대졸 청년취업자의 직무불일치, 지각된 스트레스, 직장만족도, 비인지 역량 인식 간의 구조적 관계
- 중기 경력자(Mid-career)의 전직지원서비스 참여 특성과 고용가능성 인식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