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업인용 일 자유의지 척도 타당화 연구

이용수  318

영문명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dult Work Volition Scale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김민선(Min Sun Kim)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39권 제5호, 1~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직업인용 일 자유의지 척도를 타당화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척도의 하위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성인 222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일 자유의지(4문항), 구조적 제약(4문항), 경제적 제약(3문항) 총 11문항이 도출되었다. 연구 2는 일 자유의지 척도 문항들이 다른 직업인들의 자료를 적합하게 설명하는지를 보기 위해, 성인 200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라 척도의 적용에 차이가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집단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1문항으로 구성된 3요인은 성인들의 자료를 적절히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구인동등성이 성립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일 자유의지 척도의 이해와 활용에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Work Voltage Scale was established for adults. In Study 1,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adult people to explore sub-factors on the scale.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a total of 11 questions: free will to work(4 questions), economic constraints(3 questions), and structural constraints(4 questions). In Study 2, a positive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adult people to ensure that the results derived from Study 1 adequately explain the data of other adults. In addition, a group homogeneity test was conducted to ensure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pplication of the scales according to gend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e free will scale for Korean adul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1
Ⅳ. 연구 2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선(Min Sun Kim). (2020).직업인용 일 자유의지 척도 타당화 연구. 직업교육연구, 39 (5), 1-21

MLA

김민선(Min Sun Kim). "직업인용 일 자유의지 척도 타당화 연구." 직업교육연구, 39.5(2020): 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