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반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요인, 교수실재감, 콘텐츠품질이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59

영문명
The Effects of Learner Characteristics, Teaching Presence, and Content Quality on Learning Effects in the General University e-Learning: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김한주(Kim Han-Ju) 노석준(Roh Seak-Zoon) 유병민(Yu Byeong-Min)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13권 제2호, 171~19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일반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요인(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능력), 교수실재감, 학습몰입, 콘텐츠품질(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서비스품질)이 학습효과(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요인, 교수실재감, 콘텐츠품질과 학습효과 간에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서울 K대학의 이러닝 강좌 수강생을 대상으로 2014년 9월 22일부터 10월 5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295명의 응답이 분석되었다. 자료는 AMOS 2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Sobel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모형적합도는 x2 =695.26, df=253, TLI=.90, CFI=.91 RMSEA=.077로 나타나, 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요인, 교수실재감, 콘텐츠품질, 학습효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요인, 교수실재감, 콘텐츠품질 중 정보품질이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몰입은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몰입은 대학 이러닝의 학습자요인, 교수실재감, 그리고 콘텐츠품질 중 정보품질과 학습효과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학습효과를 증진하기 위한 몇 가지 교수설계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er characteristics (self efficacy, self-regulated learning), teaching presence, content quality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learning flow, and learning effects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persiste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between learner characteristics, teaching presence, content quality and learning effects in general university e-learning. Th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students who were taking an e-learning course offered by K University in Seoul, Korea from September 22, 2014 to October 5, 2014, and 295 cas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AMOS 21 was utilized for analyz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t of model has a good level (x2=695.26, df=253, TLI=.90, CFI=.91 RMSEA=.077), meaning that the research model is appropriate. Second, learner characteristics, teaching presence, and information quality of content quality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 learning flow. Third, learning flow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 on learning effects. Fourth, learning flow mediate between learning characteristics, teaching presence, and information quality of content quality, and learning effect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several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to improve learning effects of the students who are taking e-learning courses offered by general university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한주(Kim Han-Ju),노석준(Roh Seak-Zoon),유병민(Yu Byeong-Min). (2015).일반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요인, 교수실재감, 콘텐츠품질이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13 (2), 171-194

MLA

김한주(Kim Han-Ju),노석준(Roh Seak-Zoon),유병민(Yu Byeong-Min). "일반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요인, 교수실재감, 콘텐츠품질이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13.2(2015): 171-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