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모의 양육태도가 대학생 자녀의 목표추구지향성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7

영문명
Quality of the parenting style o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ediation effect of goal-seeking orientation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이형화(Lee Hyung-hwa) 장형심(Jang Hyung-shim)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13권 제2호, 25~4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Baumrind의 양육태도이론과 Dykman의 목표추구지향성 접근을 연계하여 이들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밝힘으로써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의 고저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후기청소년기 대학생 자녀의 목표추구지향성(i.e, 확인추구 vs. 성장추구)에 영향을 주고, 이는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을 정적 또는 부적으로 예측한다는 연구모형을 상정하였다. 본 연구에는 대학생 257명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부모의 양육태도(i.e., 권위적 태도 vs. 민주적 태도), 목표추구 지향성(i.e., 확인추구 지향성 vs. 성장추구 지향성), 심리적 안녕감 수준을 자기보고식으로 평정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권위적 양육태도는 자녀로 하여금 늘 자신의 가치를 확인받고자 하는 열망인 확인추구지향성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결과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는 자녀로 하여금 확인보다는 성장 및 발전에 관심을 쏟는 성장추구지향성에 정적 영향을 주며, 이는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는 자녀의 확인추구지향성에도 정적 영향을 미쳤는데, 이와 같은 뜻밖의 결과는 부모의 자녀에 대한 높은 교육적 기대와 부모를 실망시키지 않으려는 자녀의 갈망이 확인추구지향성으로 연결된 한국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현상으로 추론이 가능하며, 이는 후속 연구를 통해 검증해 볼 수 있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녀의 확인추구지향성은 여전히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영향을 준다는 결과는 많은 시사점을 준다.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는 본문에서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parenting style, goal-seeking orient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wo hundred and fifty-seven college students completed instruments assessing parenting style(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goal-seeking orientation(validation-seeking orientation, growth-seeking orient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tructural analyses showed that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contributed positively to validation-seeking orientation while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contributed positively to validation-seeking orientation and growth-seeking orientation. In turn, validation-seeking orientation contributed negatively to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growth-seeking orientation contributed positively to psychological well-being. Test for mediation showed that validation-seeking orient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growth-seeking orient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with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형화(Lee Hyung-hwa),장형심(Jang Hyung-shim). (2015).부모의 양육태도가 대학생 자녀의 목표추구지향성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13 (2), 25-49

MLA

이형화(Lee Hyung-hwa),장형심(Jang Hyung-shim). "부모의 양육태도가 대학생 자녀의 목표추구지향성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13.2(2015): 25-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