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몰입, 만족도, 지속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용수 101
- 영문명
- Examining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regulated learning, flow,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to use smart learning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이정민(Jeong-min Lee) 김영주(Young-ju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3권 제2호, 127~15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에서 지속사용의도의 선행요인을 밝히고자, 학습자변인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과정변인으로 몰입, 학습성과변인으로 만족도를 선정하고 인과관계 모형을 상정하여 이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210명의 자료로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을수록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의 몰입과 만족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가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에서 몰입을 경험할수록 학습에 대한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높게 느끼는 학습자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려는 의도를 가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몰입을 매개하여 만족도 향상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몰입과 만족도를 매개로 지속사용의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몰입은 만족도를 매개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의 지속사용의도를 높이는 데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학습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하기 위해서 학습몰입을 촉진시키고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교수전략 및 콘텐츠의 설계 전략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regulated learning, flow,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to use smart learning. For this study, 210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online survey regarding self-regulated learning, flow, satisfaction continuous intention to use smart learn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regulated learning had a direct effect on flow. Second, self-regulated learning and flow had directs effects on satisfaction of smart learning. Third, flow and satisfaction had direct effects on continuous intention to use smart learning. Fourth, self-regulated learning had indirect effects on satisfaction of smart learning through flow. Lastly, self-regulated learning and flow had indirect effects on intention to use smart learning through satisfaction of smart learning. The structural model proposes to provide insights on university students continuous intention to use smart learning. This study shows an empirical evidence suggesting various individual and learning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learning for university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몰입, 만족도, 지속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 자살시도 청소년의 자살극복 과정에 관한 연구
- 부모의 양육태도가 대학생 자녀의 목표추구지향성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교육공동체 의견 조사에 기초한 자유학기제의 안정적 정착 방안 탐색
-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 관계에서 불안과 우울의 매개효과
- 핵심역량 기반 융합교육을 위한 대학생의 핵심역량 및 창의적 성향 비교
- 일반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요인, 교수실재감, 콘텐츠품질이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 상상력을 활용하는 생태교육의 이론과 방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