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살시도 청소년의 자살극복 과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159
- 영문명
- A Study of Suicidal Youth s Process of Overcoming Suicide: Focusing on the Case Management Youth in Youth Counsel Welfare Center -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김범구(Kim Bum-Goo) 노성덕(Rho Sung-Durk) 이창호(Lee Chang-Ho)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3권 제2호, 73~10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청소년 중 현재는 자살 저위험군으로 판정된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살생각부터 자살극복까지의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자살예방과 자살시도 이후 극복방안을 위한 개입전략을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사례관리 하고 있는 청소년 중 과거에 자살시도를 하였으나 현재는 자살위험 저위험군으로 판정하고 추천한 청소년 가운데 8명을 심층면접 후,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인과적 조건으로는 ‘탈출하고 싶은 가정’, ‘학교를 벗어나고 싶음’이였고 중심현상에 대한 맥락적 조건으로는‘역기능적인 가정환경’, ‘외로움과 자기 원망’, ‘나쁜 친구엄마’,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학교환경’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함’이였는데, 연구자들은 이를 ‘자살해서라도 힘든 상황을 탈출하고 싶었습니다’로 명명하였다. 중재적 조건은 ‘가족의 도움’, ‘친구들의 도움’,‘전문가의 도움’이었고, 현상을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상담 및 치료를 받음’,‘생각과 태도를 바꿈’, ‘대안활동으로 자살을 이겨냄’, ‘긍정일기를 써서 이겨냄’,‘화를 풀어냄’이었다. 결과로는 ‘사는 의미를 찾음’, ‘미래에 대한 꿈을 가지게 됨’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살생각부터 자살극복까지의 과정분석 결과 ‘절망단계’, ‘자살시도 단계’, ‘현실수용 및 변화시도 단계’,‘새로운 삶 지향 단계’의 과정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자살예방과 자살극복 과정에 필요한 방안과 연구를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As a means of developing a strategy for suicide prevention and post-suicide attempt interven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a process of having suicidal thoughts to overcoming them among the youth currently at a low risk of suicide who has a history of attempting suicid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cases assessed to be at a low risk of suicide at local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ight of them and the result was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family and school environments that lead youth to want to escape’ are causal conditions, and contextual conditions include ‘a dysfunctional home environment,’ ‘loneliness and self resentment,’ ‘a friend’s evil mother,’ and ‘a dysfunctional school environment.’ The central phenomenon is ‘taking one’s own life’ and it is stated by the researchers to be ‘escaping difficult circumstances by committing suicide.’ Intervention conditions are ‘support from family, friends, and professionals.’ The active/interactive strategies for the phenomenon include ‘receiving counseling or psychotherapy,’ ‘changing thoughts and attitudes,’ ‘engaging in alternative activities,’ ‘writing positive journals,’ and ‘relieving anger.’ The results of these strategies are ‘finding a meaning of life’ and ‘discovering a future dream.’ Additionally, this research finds out that the process of having suicide thoughts to overcoming those moves from a stage of despair, suicide attempt, accepting reality and attempting to change, and a stage of aiming for a new life. Based on the results above mentioned, this study proposes ideas for plans and researches needed for suicide attempt intervention.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몰입, 만족도, 지속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 자살시도 청소년의 자살극복 과정에 관한 연구
- 부모의 양육태도가 대학생 자녀의 목표추구지향성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교육공동체 의견 조사에 기초한 자유학기제의 안정적 정착 방안 탐색
-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 관계에서 불안과 우울의 매개효과
- 핵심역량 기반 융합교육을 위한 대학생의 핵심역량 및 창의적 성향 비교
- 일반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요인, 교수실재감, 콘텐츠품질이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 상상력을 활용하는 생태교육의 이론과 방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