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공동체 의견 조사에 기초한 자유학기제의 안정적 정착 방안 탐색
이용수 14
- 영문명
- An Inquiry on the stably settling Methods for Free Semester System based on the Survey of Education Community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이병환(Lee Byung-Hwan) 임영희(Lim Young-Hee) 권민석(kwon Min-Suk)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13권 제2호, 103~12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현 정부의 역점 사업인 자유학기제의 관련 쟁점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6년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전면 도입을 앞두고 학교 현장에서는 여전히 세부 추진 방법론에 대하여 구체적인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세부 실천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지역 교사 230명, 학부모 230명과 자유학기제 3개 연구 학교(1개교는 2014년 연구학교) 560명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 6월 한달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유학기제의 운영시기와 중점에 대해서는 2학년 1학기, 1학년 2학기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공통적으로 진로교육에 중점을 두고 운영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운영모형은 혼합모형, 진로탐색모형을 가장 선호하였고, 학생 선택프로그램 중점 모형은 혼합모형, 진로인성모형, 창의인성모형을 가장 선호하였다. 예술·체육 중점 모형 중 가장 선호하는 유형으로는 음악+미술+체육유형, 음악+체육 유형을 가장 선호하였다. 진로교육 방법으로 소규모 또는 개인별, 진로정보탐색, 교과연계의 순으로 선호하였다. 평가방법으로 수행평가, 형성평가+수행평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중규모, 소규모의 학급규모에 따른 자유학기제 운영모형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about the demands of free semester system for career exploration. This research, which was based on the study of the literature, has diversel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opinions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bout free semester system.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s they preferred the second semester of grade 1 and the first semester of grade 2 for the operating and focused time, and commonly wanted to operate with an emphasis on career education. The most preferred operating models were mixed model and career exploration model and the most preferred programs student selected were the mixed model, career personality model and creative personality model. Music+art+athletic type and music+athletic type were the most preferred type of art-athletic focus model. The favored method of education for career was small or individual. The second favored methods were the exploration of career information and connection of subject. The most preferred evaluation systems were performance assessment and formative evaluation+performance assessment. Here, this research suggested various free semester system models, according to class size of big, medium and smal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몰입, 만족도, 지속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 자살시도 청소년의 자살극복 과정에 관한 연구
- 부모의 양육태도가 대학생 자녀의 목표추구지향성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교육공동체 의견 조사에 기초한 자유학기제의 안정적 정착 방안 탐색
-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 관계에서 불안과 우울의 매개효과
- 핵심역량 기반 융합교육을 위한 대학생의 핵심역량 및 창의적 성향 비교
- 일반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요인, 교수실재감, 콘텐츠품질이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 상상력을 활용하는 생태교육의 이론과 방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