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음악과 언어 영역과의 통합적 접근의 탐색
이용수 255
- 영문명
- Integrating Elementary Music Class with Language Instruction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최미영(MiYoung Choi)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10호, 41~5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2.28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가 음악활동을 여러 교과들과 연계시킬 수 있는 경험과 통찰력을 얻게 학기 위해 초등음악 지도에 있어 교사 혼자서도 음악수업에서 음악교과 고유의 영역을 희생하지 않으면서 다른 영역과의 통합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의 출발점으로써 한 개의 타 교과 간의 통합방법 중 음악과 언어 영역을 연계하였다. 먼저 관련 문헌을 통해 음악과 언어 영역 간의 통합적 접근방법(음악학습과 언어지식 영역의 통합, 아동문학을 활용한 음악학습, 표제음악 감상과 언어학습의 통합)을 고찰하고, 각 접근방법에 대해 현행 초등음악 교과서의 제재곡에 적용하여 교사가 음악 수업에서 통합하여 지도할 수 있는 활동의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oretically,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the arts, especially music, with other academic subjects has been given continual emphasis. However, music educators and other teachers are not often involved in integrating curricula. Typically, music is taught as a separate discipline without reference to general education. Otherwise, even when it is related with general education, music takes the role of handmaiden to other subjects without teaching the basic music elements. Music educators have speci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when considering integrated curricula. It may be that they do not share enough time to plan for integrating curricula with other teachers. Perhaps it is useful to discuss some ways in which music educators can think about the integration in their setting as springboards. This study concerns how elementary general music instruction can connect with core curriculum subjects, especially language skills, without sacrificing the basic music concepts in order to teach in the larger context of curriculum.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음악과 언어 영역 간의 통합지도
Ⅲ. 초등 음악지도에서 언어영역과의 통합지도의 실제
Ⅳ. 나가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교육으로서 음악교과교육의 정체성
- 예비 오디에이션 단계에서의 개념도를 활용한 음악교수 모델 제안
- 힙합문화와 음악교육콘텐츠
- ‘색’을 적용한 ‘기능화성이론’의 음악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통합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음악과 언어 영역과의 통합적 접근의 탐색
- 공명현상을 활용한 초등학교 기초과정 단소 지도 연구
- 음악대학원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 음악선호도와의 관계
- 음악과 음향의 해석에 따른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분석 연구
- 뮤직프로덕션과의 운영 실태와 미래 전망
- 20세기 프랑스 가곡의 맥락적 이해 -아더 오네거의 ‘거리의 연주자들’을 중심으로
- 현대음악의 특수기법을 활용한 창의적 모둠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방안
- 셴커식 분석 이론에 의한 창작 영역 교수․학습 모형 설계 및 개발
- 초보자를 위한 피아노 페달주법 학습에 관한 연구
- 영화 음악의 음악 교육적 가치와 활용
- ‘즐거운 생활’에서 음악적 활동의 통합교과적 특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