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대학원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 음악선호도와의 관계
이용수 337
-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Music Preference among Korean Music Graduate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최진호(JinHo Choi)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10호, 81~9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2.28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재 대학원에 재학 중인 60명(N=60)의 음악교육 전공생들과 일반음악 전공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에 대한 태
도(Multicultural Attitudes)와 다문화 음악선호도(Multicultural Music Preference)를 측정한 후, 두 변인 간의 상관관계(Correlation)를 조사해 보았다. 본 연구결과, 두 변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r=.54, 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다문화 교육에서 다문화 음악 선호도가 미치는 영향이 상당히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의 두 집단인 음악교육 전공(그룹 A)과 일반음악 전공(그룹 B)간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음악선호도의 차이를 일원분산분석(ANOVA) 통계방법을 사용하여 각각 비교 분석해 본 결과, 다문화 음악선호도에서는 두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문화에 대한 태도에서는 두 집단 사이에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F(1, 58)=4.58, p<.05).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한국의 음악교육을 책임질 음악교육 전공생들을 위해 한국의 대학들이 교과과정에서 더욱 다양한 다문화 음악과 관련된 과목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연구에서는 음악교육 전공생들에게 다문화 음악에 대한 다양한 배움의 방법과 기회들을 제공 할 수 있는 교과과정의 개발이 필요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music preference of Korean music graduates (n=60). The Munro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MASQUE) and Multicultural Music Preference Survey Inventory(MMPSI) were administered to 30 graduate music education majors (Group A) and 30 graduate general music majors (Group B). There were two research questions;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music preference of Korean music graduates? and Are there differences between music education majors and general music majors on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music prefere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attitudes(MASQUE) score and muticultural music preference(MMPSI) score (r=.54, p<.01). Al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sic education majors and general music majors on multicultural attitudes (F(1, 58)=4.58, p<.05).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sic education majors and general music majors on multicultural music preference. Recommendation and conclusion were provided for music education majors and Korean univers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교육으로서 음악교과교육의 정체성
- 예비 오디에이션 단계에서의 개념도를 활용한 음악교수 모델 제안
- 힙합문화와 음악교육콘텐츠
- ‘색’을 적용한 ‘기능화성이론’의 음악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통합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음악과 언어 영역과의 통합적 접근의 탐색
- 공명현상을 활용한 초등학교 기초과정 단소 지도 연구
- 음악대학원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 음악선호도와의 관계
- 음악과 음향의 해석에 따른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분석 연구
- 뮤직프로덕션과의 운영 실태와 미래 전망
- 20세기 프랑스 가곡의 맥락적 이해 -아더 오네거의 ‘거리의 연주자들’을 중심으로
- 현대음악의 특수기법을 활용한 창의적 모둠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방안
- 셴커식 분석 이론에 의한 창작 영역 교수․학습 모형 설계 및 개발
- 초보자를 위한 피아노 페달주법 학습에 관한 연구
- 영화 음악의 음악 교육적 가치와 활용
- ‘즐거운 생활’에서 음악적 활동의 통합교과적 특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