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힙합문화와 음악교육콘텐츠
이용수 396
- 영문명
- Hip-hop Culture and Music Education Contents: Centered on DJing and MCing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독고현(Hyun Tockgo)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10호, 239~25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2.28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아프리카계 미국인 청년들을 중심으로 발전해온 힙합문화가 이제 글로벌문화로서의 위상을 갖추게 되었다. 힙합문화는
디제잉, 엠씨잉, 비보잉, 그리고 그래피티 등 다양한 표현예술 및 생활방식을 아우르는 통합적 개념인데, 이 중 디제잉과 엠씨잉이 음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어 이를 음악교육콘텐츠로 수용할 여지가 있다. 디제잉은 턴테이블이나 이에 상응하는 최신 기기들을 조작하여 사운드를 믹싱하는 과정이고, 엠씨잉은 디제잉을 통해 연주되는 리듬 위주의 음악에 랩을 얹어 하나의 노래를 완성하는 것이다. 이 힙합음악은 음악 자체의 미학적 완성도 측면에서뿐 아니라 사회ㆍ문화적 맥락에서도 연구와 적용 및 향유의 가치가 충분하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가치에 대해 폭넓은 이해를 구하고 이를 공교육 현장에서 활용하도록 하자는 데에 있다. 이에 논자는 힙합의 음악적 요소, 그리고 이와 관련한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현황을 살펴본 후, 음악교육콘텐츠로서의 힙합의 가능성을 음악교육의 공학적 측면과 교육과정의 영역에 연계하여 전반적으로 개괄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Hip-hop as a cultural movement manifest in DJing, MCing, B-Boying, and graffiti writing has spread around the world, though created in the United States by African Americans. Hip-hop as a global culture is now the center of a mega music and fashion industry around the world, and it is recognized as the world s favorite youth culture in which just about every country on the planet seems to have developed its own local rap/hip-hop scene. Of the major cultural pillars mentioned above, DJing and MCing are those containing more musical elements. DJing is related to being a DJ(disc jockey) performing on stage. Hip-hop DJs show various techniques such as sampling and scratching using discs and turntables connected to a mixer and some other pieces of electronic music equipment. MCing, also known as rapping, refers to spoken or chanted rhyming lyrics with a strong rhythmic accompaniment called a beat. With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y, greater creative possibilities are being offered to hip-hop amateurs as well as to pro musicians. Considering these situations, we should think about embracing hip-hop as a means of music education. DJing and MCing can motivate students in the music classroom both inside and outside because they have attractive educational contents (CT) and various contextual information. Furthermore, it is surprising to
find out that the elements of hip-hop music apply to many detailed items of comprehension, activity, and life application in music curriculum. All schools including music colleges are expected to enjoy these wonderful music education contents.
목차
Ⅰ. 들어가며: 글로벌문화로서의 힙합
Ⅱ. 힙합의 음악적 요소
Ⅲ. 음악교육콘텐츠로서의 힙합
Ⅳ. 마치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교육으로서 음악교과교육의 정체성
- 예비 오디에이션 단계에서의 개념도를 활용한 음악교수 모델 제안
- 힙합문화와 음악교육콘텐츠
- ‘색’을 적용한 ‘기능화성이론’의 음악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통합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음악과 언어 영역과의 통합적 접근의 탐색
- 공명현상을 활용한 초등학교 기초과정 단소 지도 연구
- 음악대학원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 음악선호도와의 관계
- 음악과 음향의 해석에 따른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분석 연구
- 뮤직프로덕션과의 운영 실태와 미래 전망
- 20세기 프랑스 가곡의 맥락적 이해 -아더 오네거의 ‘거리의 연주자들’을 중심으로
- 현대음악의 특수기법을 활용한 창의적 모둠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방안
- 셴커식 분석 이론에 의한 창작 영역 교수․학습 모형 설계 및 개발
- 초보자를 위한 피아노 페달주법 학습에 관한 연구
- 영화 음악의 음악 교육적 가치와 활용
- ‘즐거운 생활’에서 음악적 활동의 통합교과적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journal of Marxism studies Vol.2 No.1 Contents
- 《资本论》中存在开端难题吗?——驳阿瑟的“新辩证法”
- 西方个人本位论及其意识形态变体的分析与反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