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 오디에이션 단계에서의 개념도를 활용한 음악교수 모델 제안
이용수 171
- 영문명
- A Music Instruction Model Using the Concept Map at the Preparatory Audiation Stage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조대현(DaeHyun Cho)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10호, 95~11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2.28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념도를 활용한 음악교수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첫째, 다양한 학습요소 간에 성립된 긴밀한 교육적 관계를 논
리적으로 설명하고, 둘째, 이러한 논리적 사고 속에서 계획된 음악교수를 통해 보다 나은 음악교육적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개념도의 의미와 역할을 교육철학적 관점과 교육심리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개념도에 의한‘사고의 흐름’과 유아의 ‘인지과정’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개념도를 활용한 음악교수가 보다 효과적인 음악수업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intended to show if the instruction by using concept map, which supports to systematize knowledges meaningfully in our recognition structure by helping them determine hierarchy between concepts and understand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effective for the enhancement of musical teaching ability. For this study, I mapped out the scheme of procedures for instruction by using concept map, and designed model of instruction for music-teacher from perspective of educational philosophy and learning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vestigation of two different views - ‘Stream of Consciousness from the view of educational philosophy and ‘Process of Perception from a view of learning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Second, compare investigation-views with a concept map from educational technological aspect. Third, by comparing, design a new musical instruction-model using concept map at the stage of preparatory audiation. For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conclude as follows. Firstly, use of concept map in musical instruction can be effective. This means that instruction by using concept map makes meaningful difference with regard to teaching ability. Secondly, it is shown that instruction by using concept map is effective on an area of musical thinking ability. That is, it is effective for comprehending ability and reasoning ability.
목차
Ⅰ. 서론: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예비 오디에이션 단계에서의 개념도를 활용한 음악교수 모델
Ⅲ. 결론: 개념도 활용 음악교수를 위한 전제조건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교육으로서 음악교과교육의 정체성
- 예비 오디에이션 단계에서의 개념도를 활용한 음악교수 모델 제안
- 힙합문화와 음악교육콘텐츠
- ‘색’을 적용한 ‘기능화성이론’의 음악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통합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음악과 언어 영역과의 통합적 접근의 탐색
- 공명현상을 활용한 초등학교 기초과정 단소 지도 연구
- 음악대학원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 음악선호도와의 관계
- 음악과 음향의 해석에 따른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분석 연구
- 뮤직프로덕션과의 운영 실태와 미래 전망
- 20세기 프랑스 가곡의 맥락적 이해 -아더 오네거의 ‘거리의 연주자들’을 중심으로
- 현대음악의 특수기법을 활용한 창의적 모둠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방안
- 셴커식 분석 이론에 의한 창작 영역 교수․학습 모형 설계 및 개발
- 초보자를 위한 피아노 페달주법 학습에 관한 연구
- 영화 음악의 음악 교육적 가치와 활용
- ‘즐거운 생활’에서 음악적 활동의 통합교과적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journal of Marxism studies Vol.2 No.1 Contents
- 《资本论》中存在开端难题吗?——驳阿瑟的“新辩证法”
- 西方个人本位论及其意识形态变体的分析与反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